한국농수산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Sandwich Education System은 이론과 실습이 완벽하게 조화된 교육시스템으로 전문성과 현장성을 두루 갖춘 농업 CEO 완성을 위한 특별교육 과정이다
1학년 - 기초소양과 농수산업교과목 교육
일반적인 교양과목은 물론 작목별 전문기술과 농수산업경영에 필요한 전문지식 까지, 농수산업 CEO로서의 경영마인드에서 유통교육까지 농수산업경영인으로서의 기초를 다지기 위한 기본소양 교육
2학년 - 국내외 선진농어장 파견실습을 통한 현장교육
1년 동안 선진농어장에서 직접 몸으로 배우는 현장실습 교육과정. 학교에서 배운 전문지식들을 현장에서 직접 적용해 볼 뿐만 아니라 국내․외 우수한 농어장의 경영기법과 생산 노하우를 직접 배움으로써 현장의 전문성과 발생 가능한 문제점들을 미리 숙지하여 현장 대처능력 강화
3학년 - 영어농정착을 위한 문제해결식교육 및 창업설계
졸업 후의 영어농계획을 구체적으로 설계하고 실질적인 창업을 준비하는 단계. 지도교수의 1:1 개별지도를 통하여 자신의 구체적인 진로는 물론 창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게 되고 창업 시 발행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사전에 점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영어농활동 준비
전공심화과정 - 학사학위 수여를 위한 전공심화과정
전문학사 졸업 후 농업현장 실무 경력 1년 이상된 경우 학사학위수여 전공심화과정 이수가능. 졸업생들이 영농에서 부딪히는 문제해결 중심교육으로 농산물 수확 후 처리, 저장, 가공, 유통 경영 등을 교육
a
- 농업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현장 중심의 열림 교육
- 작목 중심의 통합적 교육과정 운영
- 세계화와 지방화에 대비한 교육
- 장기 농업수요에 필요한 미래 지향적인 교육
- 교과편성 및 이수원칙
- 교과과정 편성방향
- 영농현장 적응능력 함양을 위하여 농업·농촌 현장에서 유용하고 실용성이 있는 교과목을 전공교과목으로 편성하되 이론과 실습교과로 구분하여 편성
- 교과목은 1∼3학점 단위로 개설함을 원칙으로 하되, 실험·실습 등 실기과목은 1∼2학점 단위로 개설할 수 있다, 다만 실험·실습 등 실기과목은 2시간을 1학점으로 한다.
- 매 학기 20학점 이상 이수함을 원칙으로 하되, 24학점 이상을 초과하여 이수하지 못한다. 단,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각 학과장의 승인을 얻어 20학점 미만을 이수할 수 있다.
- 교과과정 구조
- 2016학년도 입학생 부터
2016학년도 교과과정
이수영역 |
학점 |
비고 |
교양(8학점) |
필수 |
5 |
|
선택 |
3 |
외국어(2), 생활체육(1) |
전문(72) |
전공(43) |
필수 |
24 |
|
선택 |
19 |
|
공통기초(29) |
필수 |
21 |
|
선택 |
8 |
|
장기현장실습 |
40 |
|
합계 |
120 |
|
- 2015학년도 이전 입학자
2015학년도 이전 입학자
이수영역 |
학점 |
비고 |
교양 |
필수 |
9 |
|
선택 |
제한없음 |
|
전공 |
필수 |
37 |
|
선택 |
제한없음 |
|
장기현장실습 |
필수 |
40 |
|
합계 |
120 |
|
- 이수학점
- 졸업에 필요한 최소 학점은 120학점(2학년 장기현장실습 40학점 포함) 이수하여야 한다.
- 이수영역별로 정한 학점과 각 학과에서 지정한 필수 교과목은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