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교과소개
전공 필수
- 수목생리학(Tree Physiology)
- 수목의 형태적ㆍ기능적 특성 생식생장 및 영양생장 광합성, 호흡 및 증산, 수분의 흡수 및 양분동태, 유성생식과 개화생리, 종자생리, 생장조절물질, 수목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와 그에 따른 수목의 생리적 변화 등 수목의 생리 및 생장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수목의 구조와 기능 ②수목의 생장 ③햇빛과 광합성 ④수목의 호흡 ⑤탄수화물 대사와 운반 ⑥단백질과 질소대사 ⑦수분생리와 증산작용 ⑧무기염흡수와 수액상승 ⑨유성생식과 개화생리 종자생리 식물호르몬 환경스트레스 및 휴면 생리 등으로 구성된다.
- 재배원론(Principles of Cultivation)
- 산림분야 생산을 위한 기초적인 재배이론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은 품종의 개념과 특성, 유전이론, 육종의 방법, 우량품종의 종자증식, 온도와 수분 및 광 등 재배환경, 작물의 재배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작물재배의 정의와 이론 ② 작물의 분류 및 재배현황 ③ 작물의 품종과 유전 및 육종 ④ 재배 환경의 개념 및 토성 ⑤ 재배 환경 ⑥ 재배 광 환경 및 상적 발육 ⑦ 재배기술의 변천 및 작부체계 ⑧ 종자의 발아와 휴면 ⑨ 영양번식과 육묘 정지 파종 이식 및 시비 작물의 내적 균형과 식물생장조절제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학기초 및 실습(Introduction and Practices of Forestry)
- 산림학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과목으로, 산림환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기초지식을 이론 및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학습내용은 산림의 기능, 국내·외 산림자원 현황, 수목특성, 산림생태, 조림, 육림, 산림경영 및 수확, 산림보호, 임산자원, 산림휴양 등 앞으로 산림학을 전공함에 있어서 배우게 될 교과의 전반적인 개요를 습득하는데 있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숲과 인간생활 ② 우리나라의 산림자원 ③ 우리나라의 나무 ④ 수목의 생리 ⑤ 임목의 유전 및 육종 실습 ⑥ 산림의 생태 ⑦ 산림의 조성 ⑧ 임목종자, 양묘, 식재 실습 ⑨ 산림보호, 산림측정, 산림공학 임업경영 산림휴양 산림과학원 및 수목원 견학 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 수목학 및 실습(Dendrology and Practice)
- 효용가치가 높은 산림 수목을 대상으로 수목분류, 식별, 명칭, 생태적 특성 및 용도에 관하여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로 야외에서 조사, 관찰, 채집 및 동정하는 실습을 통하여 수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수목의 분류 ② 수목의 구조와 생장 ③ 수목의 학명 ④ 수목식재 ⑤ 식물의 형태와 구조 ⑥ 수목의 특성이해 ⑦ 수목 전정 ⑧ 정원과 수목의 이용 ⑨ 수목 이식 주요 수목의 특성과 재배기술 포장관리실습 선진수목농장 및 수목원 견학 등으로 구성된다.
- 수목번식학 및 실습(Tree Propagation and Practice)
- 수목의 번식기술에 대한 내용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수목 번식의 개요와 중요성 ② 종자일반 개화결실 종자채집과 조제 종자 저장 ③ 종자 발아력조사 종자 발아촉진 종자 품질검사 ④ 포지종류 포지선정 포지구획 포지작업 및 관리 ⑤ 포지토양 진단 토양시료채취 포지토양관리 ⑥ 묘포장 구획정리 및 관리 견학 ⑦ 유성번식 무성번식 묘목의 품질검사 ⑧ 파종 및 접목번식 실습 ⑨ 수종선정, 굴취와 포장, 운반가식, 식재방법 포지 작업생력화, 제초작업 생력화, 용기육묘 포지의 해충 종류, 해충의 생태 및 방제법 포지의 병해 특성 및 방제법 등으로 구성된다.
- 조림학 및 실습(Silviculture and Practice)
- 산림자원을 조성하고 효율적으로 관리ㆍ경영 하는데 필요한 산림의 인공갱신 및 천연갱신 방법과 산림의 무육기술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또한 인공조림지의 환경조건, 적지적수, 조림방법, 임목종자의 생산과정 및 처리와 보관 등을 학습하여 조림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조림총론 ② 임업종자 ③ 묘목양성 ④ 묘목식재실습 ⑤ 파종조림과 산림보육 ⑥ 간벌 ⑦ 가지치기 및 임지보육 ⑧ 갱신방법 ⑨ 주요수종특성 기초산림조사 및 수목원 견학 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생산학 (Forest Production)
-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단·중·장기적으로 임업소득을 창출 할 수 있는 고부부가가치 임업분야에 대한 이론과 사례를 학습한다. 학습내용은 산림생산 및 이용과 관련된 첨단 융·복합기술, 혼농임업(agro-forestry), 단기임산물과 특용수에 대한 재배기술, 수확 및 유통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산림복합단지, 수목원 등에 대한 설계 및 시공사례, 산림경영사례 등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농장실습사례 발표 ② 재배수종 선정 및 토의 ③ 산림포지설계 및 식재계획 설계 ④ 산림포지조성 및 수목식재실습 ⑤ 수목 및 포장 유지관리 ⑥ 임지재배 및 수목의 수형관리 ⑦ 국내외 목재수확 및 유통현황 ⑧ 유실수 및 약용수 생산과 유통현황 ⑨ 산채류 및 기타 유용수종의 생산과 유통현황 산림복합단지 및 수목원 설계 및 경영사례 선택작목별 재배기술과 농장경영사례조사 창업농장 견학 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 특용수 재배학 및 실습(Special Purpose Trees Cultivation and Practice)
- 목본식물 가운데 목재생산 외에 특수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수종을 대상으로 식물생태, 번식, 재배, 관리, 이용 등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학습함으로써, 산촌에서 이들 식물의 재배 활성화 및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특용수 재배 개요 ② 특용수 재배에 대한 이해 ③ 번식자원에 대한 이해 ④ 번식 방법 및 기술 ⑤ 증식 기술 ⑥ 약용수종에 대한 이해 ⑦ 주요 약용수 재배 ⑧ 식용 열매생산 수종에 대한 이해 ⑨ 주요 식용수종 소개 주요 유실수 재배법 관상수 재배법 특용수 재배농장 견학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창업세미나(Forest Foundation Seminar)
- 농장창업계획안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한다. 창업계획 중, 단기계획수립에 필요한 토지, 지역여건, 작부체계, 재배기술, 유통, 경영과 자금조달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세미나 등을 통해 합리적인 계획안을 수립 한다. 주요 강의내용은 ① 창업논문 작성방법 개요 ② 논문작성사례분석 ③ 창업작목 선정 및 구상 ④ 영농지역 창업 준비 기초 자료 수집 ⑤ 작부체계 구상 ⑥ 생산기술 조사 ⑦ 창업 소요 자재 및 금액조사 ⑧ 수요와 수익성검토 ⑨ 창업농장 운영 및 경영사례조사발표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이슈(Forest Issue)
- 산림분야의 최근 정책방향, 연구분야, 수종 및 재배기술, 가공 및 유통분야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하여 토론·학습하며,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현안 및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 및 발전방안을 각자 구상하도록 한다. 주요 강의내용으로는 ① 국내외 산림경영 현황 ② 산림정책방향 ③ 최신연구분야 ④ 창업분야 및 경영전략 ⑤ 최신생산기술 ⑥ 가공 및 판매전략 ⑦ 기타 이슈 현안 및 문제점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경영실무 및 실습(Forest Management Business and Practice)
- 산림생산에 있어서 지속적인 임목 및 산림바이오메스 생산을 위한 생산기법 및 산림경영계획 등을 이론과 사례중심으로 학습한다. 세부적으로는 국내외 임업환경의 현황과 변화, 조림수종의 선택 및 경영방법, 장기적인 산림경영분석 및 계획서작성, 목재생산시스템 및 경제성분석, 산림생산물에 대한 유통 등 전문지식을 습득하게 하여 현장 적응력을 배양시킨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임학총론, ② 국내외 선진 산림경영사례 분석 ③ 산림정책 및 법규 ④ 산림경영계획서 설계 및 작성 ⑤ 산림경영분석 ⑥ 선택작목별 재배기술 세미나 ⑦ 묘목생산 농장 및 수목판매지 견학 실습 ⑧ 시설양묘농가 및 단기임산물 재배농가 견학 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창업논문지도(Forest Thesis Guide)
- 학기 창업논문세미나 시간에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졸업 후 농장경영에 필요한 사업계획 및 타당성분석 내용을 논문형태로 작성하는 것으로 재배식물 선정, 재배환경분석, 재배기술, 유통계획, 인력계획, 자금계획, 경영계획 등과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농업환경분석 ② 재배환경조사 및 정리 ③ 생산계획 조사 및 정리 ④ 생산기술 조사 및 정리 ⑤ 노동력 및 자재조달계획조사 ⑥ 자금운영계획 및 경영분석 ⑦ 1차 논문발표 ⑧ 산림창업관련 컨설팅 ⑨ 2차 논문발표 개인별논문 심사 최종 논문발표 등으로 구성된다.
전공 선택
- 산림측정학 및 실습(Forest Mensuration and Practice)
-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경영함에 있어 산림자원측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측정기구 사용법을 실습한다. 세부적으로는 산림경영계획을 세우는데 기초가 되는 산림자원조사, Biomass, 임목재적, 수령 및 임령, 단목 및 임분생장량 등에 대한 산림계측 방법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산림측정학의 이해 ② 산림측정학의 통계적 기초 ③ 지형도 분석 및 거리 면적 측정 ④ 수목의 직경 측정 ⑤ 수목의 수고 측정 ⑥ 수목의 직경 및 수고 측정 실습 ⑦ 벌채목의 재적측정 ⑧ 입목의 재적측정 ⑨ 임분의 재적측정 연령의 측정 생장량 측정 재적표 및 수간해석 간접측량 수목측정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자원식물학 및 실습 (Forest Resource Botany and Practice)
- 우리나라 산림에 자생하는 식물자원의 식별, 동정, 명명과 식물분류 등의 기본적 지식들을 학습하며, 특히 이용가치가 높은 산림유용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생태, 번식, 재배, 관리, 이용 등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산림자원식물의 개요 ② 산림자원식물의 분류 ③ 산림자원식물의 형태와 생육환경 ④ 번식 방법 및 기술 ⑤ 재배지 관리 기술 ⑥ 산림자원식물의 병해충 및 재해관리 대책 ⑦ 수확 후 처리방법 ⑧ 상품화 전략 ⑨ 선진 산림자원식물 재배농장 견학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경영학(Forest Management)
-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경영계획을 세우는 기초개념 및 이론을 습득하는 과목으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원칙을 적용하여 산림이 최적의 경제적 및 공익적 편익을 발휘하기 위하여 조직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주요내용은 산림경영의 개념, 산림생장 및 구조, 수확모델, 수확조절방법, 산림경영계획 작성, 산림지리정보시스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경제성분석 및 산림평가 등이다. 주요 강의내용은 ① 산림경영의 이해 ② 산림생장 및 구조 ③ 산림생장 및 수확모델 ④ 산림수확조절방법 ⑤ 산림경영계획 ⑥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⑦ 경제성 분석 ⑧ 산림평가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측량학 및 GIS 실습(Forest Surveying and GIS Practice)
- 산림사업의 체계적인 계획수립과 현대적인 산림자원 정보화 작업을 위해 산림측량기술 및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은 거리와 고저측량, 컴파스측량, 평판측량, 트랜싯측량, 지형측량, 노선측량 등 다양한 산림측량방법 및 측량기기 사용법을 실습하고, 현장에서 획득한 측량데이터와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면작성, 정보화 구축방법 및 지형정보 응용기법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측량의 기본 개념 ② 평판 측량 이론 및 실습 ③ 레벨 측량 이론 및 실습 ④ 광파측거기 측량 이론 및 실습 ⑤ GIS(Global Information System)의 이해 ⑥ GIS 분석 및 실습 ⑦ GIS 사례 발표 세미나 등으로 구성된다.
- 토양학 (Forest Soil)
- 산림토양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산림토양의 특성을 이해하고, 토양의 구분 및 분석방법,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생물학적 형성 요인과 특성, 식생과의 관계, 지위지수, 산림생산성, 산림작업이 토양에 미치는 영향,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토양관리 등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내용은 ① 산림토양의 이해 ② 토양생성인자 ③ 토양과 식생 ④ 토양의 물리성(토성, 수분, 용적밀도, 토양 3상) ⑤ 토양의 물리성(토양구조 및 공극) ⑥ 토양 물리성과 임목성장 ⑦ 토양 화학성(pH, 양분원소, CEC) ⑧ 토양 화학성과 임목성장 ⑨ 산림의 양분순환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생태학(Forest Ecology)
- 산림자원을 중심으로 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군집의 속성과 분석 산림생태계의 에너지론과 물질순환, 생태계의 분류와 생태천이, 산림과 환경인자와의 상호관계 등 전반적인 산림생태학 이론을 학습하여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산림자원을 조성ㆍ보육ㆍ생산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산림생태학의 개념 및 주요 이슈 ② 산림과 산림생태학 ③ 광합성 ④ 온도와 호흡 및 광합성의 관계 ⑤ 산림환경과 수분동태 ⑥ 토양의 생태계와 생물상 ⑦ 산림의 교란 ⑧ 생물의 환경적응과 개체군 ⑨ 산림군집의 속성과 분석 산림생태계의 에너지론 산림견학 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공학(Forest Engineering)
- 산림자원의 조성 및 육성, 보호, 목재자원의 생산 등 산림을 경영하는데 요구되는 임목생산기술 및 장비, 임도의 배치계획, 설계 및 시공, 나아가 산지와 계류의 황폐를 방지하기 위한 사방시설 및 공법 등에 대하여 이론과 실제를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산림공학의 이해 ② 임목수확시스템 및 장비특성 ③ 임목수확계획 ④ 임도의 개념 및 종류 ⑤ 임도망 계획의 원리와 이론 ⑥ 임도의 구조 및 설계 ⑦ 황폐지 및 산사태 유형 ⑧ 훼손지 피해평가 및 복원공법 ⑨ 산림수문 개간 및 야계사방 임도 및 사방시설 현장견학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휴양계획 및 실습(Forest Recreation Planning and Practice)
- 도시화에 따른 환경악화와 고령화 등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산림휴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교과에서는 산림휴양의 개념과 공간구성 및 조성기법, 운영관리, 산림휴양사례 등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산림휴양개론 ② 휴양과 건강 ③ 숲의 생태계 ④ 우리나라의 산림 ⑤ 숲과 삼림욕 ⑥ 숲과 자연환경해설 ⑦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자연휴양림 계획과정 ⑧자연휴양림 사례 ⑨ 산림휴양계획과정과 방법 기본계획Ⅰ 기본계획Ⅱ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치유(Forest Healing)
- 산림치유란 향기·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한다. 본 과목에서는 산림치유, 산림치유 지도사, 치유의 숲, 산림치유 프로그램, 치유의 숲 조성 및 관리, 산림치유 정책 등 산림치유의 이론 전반에 관해 이해하고,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산림치유의 이해 ② 산림치유 지도사 제도의 이해, 산림치유 법규 및 행정 ③ 숲의 이해, 오감의 이해, 산림치유와 감각 깨우기 ④ 산림치유 관련 이론, 산림치유와 유사한 개념 ⑤ 산림치유 장소-치유의 숲 ⑥ 산림치유 인자, 치유식물 ⑦ 스트레스와 건강 ⑧ 산림환경과 건강심리 ⑨ 산림치유 프로그램 : 숲속 힐링 산책 산림경관의 이해 산림치유 대상, 산림치유 요법 산림치유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 목재가공디자인 실무 및 실습(Wood Processing Design and Practice)
- 목재를 가공 할 수 있는 목공기계 종류의 이름과 구조적인 특징 및 성질, 그 쓰임새에 대해 학습하며, 목공기계를 이용한 가구 및 소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함으로서 목재의 이용 및 가치 증대에 관한 내용을 실습한다. 실습시간에는 목재 가구 설계 계획, 방법, 등 목재 가구 디자인 설계를 기반으로 목공기계를 활용한 가구 및 소품제작에 필요한 목공기계에 대한 올바른 사용법과 효율적인 목재가공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주요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목재 디자인과 설계 이해 ② 목재가구디자인의 과정 이해 ③ 목재가구 디자인과 목재 재질의 이해 ④ 설계 기본 구상 ⑤ 설계 기본 계획 ⑥ pre-design ⑦ 목공기계의 이해 ⑧ 목공기계 활용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현장실습 (Forest Field Practice)
- 산림현장실습은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여름방학에 1주일간 산림기능인 교육기관에서 위탁교육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현장실습의 목적은 그동안 임학 전반에 걸쳐 교내에서 학습된 이론과 실습을 바탕으로 산림현장에서 종합적으로 실습을 통하여 현장을 이해하고 경영기술과 실기능력을 배양하는데 있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산림조사 및 GPS사용법 ② 산림경영계획 작성 이론 및 실습 ③ 산림경영 및 선목기술 ④ 산림토목 측량 및 설계도 작성 ⑤ 임업기계 사용 및 유지관리 ⑥ 임목수확시스템 ⑦ 산림병해충 방제 등으로 구성된다.
- 수목병해충학 (Pest and Disease of Trees)
- 산림과 조경 수목에 피해를 주는 다양한 병해의 감정, 진단, 피해 예방 및 처방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나아가 수목병을 일으키는 병원균과 산림해충의 생활사 및 전염경로, 그리고 병해종류별 식별기술, 방제 및 치료방법을 습득하여 지속적이고 건전한 조경수 및 산림생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수목해충 소개 및 곤충의 형태 ② 곤충의 채집과 분류 ③ 곤충의 생활사 등 생태특성 ④ 해충 종류별 조경수 피해 및 해충 방제법 ⑤ 수목해충 각론 ⑥ 수목병리 소개 ⑦ 수목병의 진단 ⑧ 수목병의 방제 및 선충 ⑨ 수목병해(바이러스, 세균, 파이토프라스마 등) 수목병해(균류) 등으로 구성된다.
- 산림수확 및 이용학 (Timber Harvesting and Utilization)
- 산림에서 육성된 목재자원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벌목, 조재, 집재, 운재하는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고, 산림생산 작업과정에서 활용되는 임업기계 및 생산시스템의 운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나아가 인간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는 목재자원의 이해, 침엽수와 활엽수의 구조 및 식별의 차이점 그리고 이용의 다양성, 목재가공기술, 목질패널제품 등을 소개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산림수확 및 이용학의 이해, ② 임업기계화, ③ 벌목 및 조재작업, ④ 지상집재작업, ⑤ 가선집재작업, ⑥ 산림작업기계 실습, ⑦ 적재 및 운재작업, ⑧ 목재수확작업시스템, ⑨ 임업기계의 경제성 분석, 임도공학, 임목수확에 의한 환경피해 등으로 구성된다.
- 임간재배학 및 실습 (Agro-Forestry Technology and Practice)
- 산림 내에서 단기소득 가능한 산채, 산양삼, 더덕 등 다양한 임산약용자원을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재배함으로써 농산촌 주민의 소득증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목적 산지 이용방법을 학습한다. 나아가 단기임산물의 품질향상을 위한 재배 및 관리기술을 밝혀 산지 내에서 식물재배와 목재생산을 지속적으로 조화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산촌 소득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임간재배의 이해, ② 임간재배 식물자원 ③ 산채생산의 기초 ④ 산채식물과 재배환경 ⑤ 산채재배 기술 ⑥ 주요산채재배기술 ⑦ 산채 병해충 및 방제 ⑧ 산채의 수확 및 가공이용 ⑨ 산양삼 재배기술 다양한 임산약용자원 재배기술 임간재배농장 현장견학 등으로 구성된다.
- 임산물가공 및 이용 (Industrial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Forest Products)
- 임산물은 산림에서 채취되는 산물로 목재, 죽재, 장작, 목탄, 굴취한 수목 및 수근, 생지, 수실, 수피, 수지, 생엽, 낙엽, 이끼류, 초본류, 덩굴류, 버섯류 등 산림에서 산림 밖으로 가지고 나오는 대부분을 말한다. 다양한 임산 생산물 중 버섯류, 종실류, 초본류, 채취수액 등 식용이 가능한 많은 임산물을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이용해 왔다. 임산가공학에서는 식용이 가능한 임산 생산물에 대하여 학습하고 다양한 제품으로 가공 및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기술에 대해 습득하고자 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임산물의 분류 및 식용재료 ② 식용임산물의 생산 시기 및 특징 ③ 전통적 임산 생산물 및 가공식품의 종류와 이용특징 ④ 임산물 가공식품 제조공정 및 가공특징 ⑤ 임산물의 수확 및 수확후 처리 ⑥ 수확 임산물의 가공 및 임산가공식품 제조 실습 ⑦ 임산물 가공 식품위생관리 ⑧ 임산가공식품 품질인자 및 관리 ⑨ 임산가공식품 제조 및 생산을 위한 법규 및 행정절차 등 이다.
- 산림의 이해 (Understanding of Forest)
- 타 학과 및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산림학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과목으로, 산림환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세부적으로는 산림의 기능, 국내 및 해외 산림자원, 수목특성, 산림생태, 산림경영, 산림생산, 산림보호, 산림개발 및 전망 등을 이해함으로서 산림학에 대한 올바른 개념 확립과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숲, 숲과 인간생활 ② 우리나라의 산림 ③ 산림자원 ④ 우리나라의 나무 ⑤ 수목의 생리 ⑥ 산림의 생태 ⑦ 산림의 조성 ⑧ 산림측정 ⑨ 산림휴양 특용수 재배학–약용식물, 유실수 산채 등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