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교과소개
전공 필수
- 수목생리학(Tree Physiology)
- 수목의 형태적ㆍ기능적 특성 생식생장 및 영양생장 광합성, 호흡 및 증산, 수분의 흡수 및 양분동태, 유성생식과 개화생리, 종자생리, 생장조절물질, 수목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와 그에 따른 수목의 생리적 변화 등 수목의 생리 및 생장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수목의 구조와 기능 ② 수목의 생장 ③ 햇빛과 광합성 ④ 수목의 호흡 ⑤ 탄수화물 대사와 운반 ⑥ 단백질과 질소대사 ⑦ 수분생리와 증산작용 ⑧ 무기염흡수와 수액상승 ⑨ 유성생식과 개화생리 종자생리 식물호르몬 환경스트레스 및 휴면 생리 등으로 구성된다.
- 재배원론(Principles of Cultivation)
- 조경 분야 생산을 위한 기초적인 재배이론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은 품종의 개념과 특성, 유전이론, 육종의 방법, 우량품종의 종자증식, 온도와 수분 및 광 등 재배환경, 작물의 재배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작물재배의 정의와 이론 ② 작물의 분류 및 재배현황 ③ 작물의 품종과 유전 및 육종 ④ 재배 환경의 개념 및 토성 ⑤ 재배 환경 ⑥ 재배 광 환경 및 상적 발육 ⑦ 재배기술의 변천 및 작부체계 ⑧ 종자의 발아와 휴면 ⑨ 영양번식과 육묘 정지 파종 이식 및 시비 작물의 내적 균형과 식물생장조절제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기초및실습(Introduction and Practices of Landscape Architecture)
- 조경의 일반적인 개념과 이론, 학문으로서의 중요성, 조경산업의 전망, 조경생산기술과 관련된 기초적인 내용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조경의 이해 ② 조경수목의 분류와 특성 ③ 국내외 정원사례 ④ 조경양식의 성립배경 ⑤ 수목종자번식 및 실습 ⑥ 수목영양번식 및 실습 ⑦ 수목식재기법 및 실습 ⑧ 한국의 정원문화 ⑨ 조경수 시장전망과 특성 정원견학 조경수농장조성기법 조경계획 및 설계 조경설계와 제도 등으로 구성된다.
- 수목학 및 실습(Dendrology and Practice)
- 효용가치가 높은 산림 수목을 대상으로 수목분류, 식별, 명칭, 생태적 특성 및 용도에 관하여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로 야외에서 조사, 관찰, 채집 및 동정하는 실습을 통하여 수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수목의 분류 ② 수목의 구조와 생장 ③ 수목의 학명 ④ 수목식재 ⑤ 식물의 형태와 구조 ⑥ 수목의 특성이해 ⑦ 수목 전정 ⑧ 정원과 수목의 이용 ⑨ 수목 이식 주요 수목의 특성과 재배기술 포장관리실습 선진수목농장 및 수목원 견학 등으로 구성된다.
- 수목번식학 및 실습(Tree Propagation and Practice)
- 수목의 번식기술에 대한 내용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수목 번식의 개요와 중요성 ② 종자일반 개화결실 종자채집과 조제 종자 저장 ③ 종자 발아력조사 종자 발아촉진 종자 품질검사 ④ 포지종류 포지선정 포지구획 포지작업 및 관리 ⑤ 포지토양 진단 토양시료채취 포지토양관리 ⑥ 묘포장 구획정리 및 관리 견학 ⑦ 유성번식 무성번식 묘목의 품질검사 ⑧ 파종 및 접목번식 실습 ⑨ 수종선정, 굴취와 포장, 운반가식, 식재방법 포지 작업생력화, 제초작업 생력화, 용기육묘 포지의 해충 종류, 해충의 생태 및 방제법 포지의 병해 특성 및 방제법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관리학 및 실습(Introduction to Landscape Management and Practice)
- 정원 등 조경공간을 유지 관리하는 기술에 대해 기초적인 사항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학습내용은 조경 공간 관리에 필요한 수목식재, 전정, 시비 등 일반적인 유지관리와 관리조직과 체계 등 운영관리,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이용관리 등으로 구성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조경수목의 구조와 생장 ② 식재 후 수목관리 ③ 관수 및 시비 ④ 정지 및 전정 ⑤ 녹지관리 사례 ⑥ 수목의 병해충 관리 ⑦ 잔디 및 지피 초화류 관리와 잡초 방제 ⑧ 예방적 유지관리와 생태학적 유지관리 ⑨ 이용자 관리 시설물 유지관리 유지관리 운영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소재생산학(Landscape Architecture Material Production)
- 조경소재의 기본적인 공학적, 미학적, 친환경적 성질을 이해하고, 시공기술을 습득하여 새로운 조경소재 및 시공기술을 개발하는 응용능력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조경소재의 성질 ② 조경소재산업의 발전 및 관련제도, 소재산업의 미래 ③ 목재 및 목공사 ④ 석재 및 석공사 ⑤ 금속 및 금속공사 ⑥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공사 ⑦ 점토 및 타일 ⑧ 합성수지, 유리, 도장 ⑨ 조경포장재 및 포장공사 어린이놀이시설 생산 및 시공 인공지반 녹화 및 생태복원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시공학 및 실습(Landscape Construction and Practice)
- 조경시공에 필요한 실질적인 기술을 학습한다. 공정관리, 부지준비, 시공측량, 토공 및 지반공사 조경석이용, 조경포장과 놀이시설 등 시설물공사, 수경시설, 생태환경복원공사 등에 대해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하여 실무 적응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조경공사 개요 ② 조경시공계획 작성 ③ 식재공사 ④ 토공, 콘크리트공, 목재공, 금속공, 조적공, 미장공 등 토목공사 ⑤ 조경석공사 ⑥ 구조물공, 포장공 등 도로공사 ⑦ 수경시설, 놀이 및 운동시설 ⑧ 인공지반공사 ⑨ 생태복원공사 공원, 수목원 조경공사 리조트 조경공사 골프장 조경공사 입면녹화공사 생태하천조경공사 호텔, 병원, 오피스 조경공사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창업세미나(Landscape Foundation Seminar)
- 농장창업계획안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한다. 창업계획 중, 단기계획수립에 필요한 토지, 지역여건, 작부체계, 재배기술, 유통, 경영과 자금조달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세미나 등을 통해 합리적인 계획안을 수립 한다. 주요 강의내용은 ① 창업논문 작성방법 개요 ② 논문작성사례분석 ③ 창업작목 선정 및 구상 ④ 영농지역 창업 준비 기초 자료 수집 ⑤ 작부체계 구상 ⑥ 생산기술 조사 ⑦ 창업 소요 자재 및 금액조사 ⑧ 수요와 수익성검토 ⑨ 창업농장 운영 및 경영사례조사발표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이슈(Landscape Architecture Issue)
- 조경분야의 다양한 과제를 대상으로 그 이론과 실무 전반을 학습한다. 조경업 업무의 내용과 수행체계 등을 다루도록 한다. 조경업역에서 통용되는 기초 이론 연구와 함께 동시대의 의미 있는 실제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조경업의 의의와 역할과 한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경업 관련 업무의 기획,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전반에 걸친 과정을 재검토, 평가해 봄으로써 조경업에 대한 실천성 있는 이해와 업무 수행능력을 세미나 형태로 학습한다. 주요 학습 범위는 ① 조경계획및설계 ② 조경식재 ③ 조경시공 ④ 조경관리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경영실무 및 실습(Landscape Management Business and Practice)
- 조경수 생산기술을 실습 중심으로 학습한다. 학습내용은 조경수포지 유지관리, 인공지반녹화기술, 벽면녹화, 잡초방제, 조경수목의 수형관리, 조경수목재배기술, 가든디자인 사례, 선진농장답사 등으로 구성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포지유지관리 실습 ② 포지조성 실습 ③ 나무와 토양 ④ 조경수 생산농장 견학 ⑤ 포지 유지관리 실습 ⑥ 수형관리 실습 ⑦ 테마별 정원조성기법 ⑧ 외부농장 견학 실습 ⑨ 조경수 재배기술 세미나Ⅰ 비전염성병 관리 나무 가지치기기술 인공지반 녹화기술 관목류 및 초화류 재배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창업논문지도(Landscape Thesis Guide)
- 1학기 창업논문세미나 시간에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졸업 후 농장경영에 필요한 사업계획 및 타당성분석 내용을 논문형태로 작성하는 것으로 재배식물 선정, 재배환경분석, 재배기술, 유통계획, 인력계획, 자금계획, 경영계획 등과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농업환경분석 ② 재배환경조사 및 정리 ③ 생산계획 조사 및 정리 ④ 생산기술 조사 및 정리 ⑤ 노동력 및 자재조달계획조사 ⑥ 금운영계획 및 경영분석 ⑦ 1차 논문발표 ⑧ 2차 논문발표 ⑨ 개인별 논문 검토Ⅰ 개인별논문 검토Ⅱ 논문제출 개인별논문 심사Ⅰ 개인별논문 심사Ⅱ등으로 구성된다.
전공 선택
- 컴퓨터조경그래픽및실습(Computer Landscape Graphic and Practice)
- 조경계획 및 설계에 활용되고 있는 CAD(Computer Aided Design)의 활용방법을 습득하고, 특히 정원설계 ,마을계획, 농장계획, 산림이용계획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CAD설계에 대한 기초적 개념 정립 ② CAD 기본 명령어 익히기 ③ CAD 조경설계도면 작성1:배치도 ④ CAD 조경설계도면 작성2:시설물 계획도 ⑤ CAD조경설계도면 작성 ⑥photoshop기초 ⑦ photoshop 도면 작성 ⑧ Sketch up기초 등으로 구성된다.
- 도시농업론(Introduction to Urban Agriculture)
- 도시농업 경영과 참여 등을 위해 도시농업에 대한 이해, 도시농업법, 도시농업교육프로그램개발, 도시농업 유형별(주택활용형, 근린생활권형, 도심형, 농장형 및 공원형, 학교교육형) 텃밭 조성기법, 도시농업의 국내외 계획과 사례 등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도시농업 개념과 가치 ② 역사 속의 도시농업 ③ 도시농업 국내외 사례 ④ 도시농업 산업의 범위 ⑤ 도시농업의 유형 ⑥ 게릴라 가드닝 프로젝트 ⑦ 팀별 프로젝트 진행 후기 발표 ⑧ 도시농업 현장 견학 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 지피식물학(Introduction to Ground Covering Plants)
- 조경소재로 이용되는 옥잠화 등 수십종의 다양한 지피식물과 인동, 클레마티스 등 덩굴식물, 꽃창포 등 수생식물, 잔디 등을 중심으로 생태적 특성과 재배기술, 조경공간에서의 이용, 유통 등에 대해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지피식물의 개념 ② 지피식물의 필요성과 범위 ③ 지피식물의 역사 ④ 지피식물에 의한 녹화기법 ⑤ 녹화공간별 사례 및 특성 ⑥ 녹화를 위한 지피식물의 선정 ⑦ 지피식물의 식재 및 관리 ⑧ 초본류 특성 ⑨ 허브류 특성 낙엽관목류 특성 덩굴성식물 잔디류 특성 이해 지피식물 동정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수형기초및실습(Landscape Tree Form Foundation and Practice)
- 분재의 생산과 경영에 필요한 기초기술을 실습 중심으로 학습한다. 분재의 분류, 분재의미. 수종별 수형만들기, 분의 종류와 이용, 분재도구, 분재의 배양관리. 분재소재생산. 유통과 판매, 분재원경영 등에 대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분재의 개념과 역사 ② 분재도구 및 장비, 분재 수종 ③ 분재소재 번식 ④ 분재토양 및 분갈이 ⑤ 관수 및 시비 ⑥ 수형이론과 실제 ⑦ 분재 미학 ⑧ 진백류 수형만들기 ⑨ 잡목류 수형만들기 소나무 수형만들기 취목 실습 연간 분재관리 사리 만들기 분재유통 분재원 경영 등으로 구성된다.
- 유실수정원관리(Fruit Tree Garden Management)
- 정원, 공원 등 조경에 이용되는 주요 유실수에 대한 생태적 특성과 시비, 전정, 병충해 방제 등 유지관리와 이용에 대해 실용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학습내용은 유실수정원의 공간계획, 유실수 선정 및 배식기법과 감, 체리, 자두, 사과, 매실, 감귤류, 포도, 다래, 블루베리 등에 대해 정원에 적합한 전정기법을 중심으로 유지관리를 학습한다.
- 조경양식론(Style of Landscape Architecture)
- 동서양의 시대별 조경양식과 조경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을 소개함으로서, 경관구성양식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독창적인 조경기법을 창출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학습한다. 선조들에 의해 조성된 전통공간의 답사를 통해서 주변 환경과의 관계성, 적응 방식, 공간에 적용한 질서 등을 경험하도록 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동서양의 조경양식 차이 ② 고대 서양 조경양식 ③ 중세 유럽 조경양식 ④ 이슬람 조경양식 ⑤ 르네상스시대 조경양식 ⑥ 근대-현대 서양 조경양식 ⑦ 중국 조경양식 ⑧ 일본 조경양식 ⑨ 한국 조경양식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지형및측량실습(Landscape Topography and Surveying Practice)
- 조경(환경)계획, 설계의 기초가 되는 조경지형의 정보화작업을 위해 조경지형 측량 및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은 거리와 고저측량, 컴파스측량, 평판측량, 트랜싯측량, 지형측량, 노선측량 등 다양한 측량 방법 및 기기 사용법을 실습하고, 현장에서 획득한 측량데이터와 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면작성, 정보화 구축방법 및 지형 정보 응용기법을 습득한다. 주요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측량의 기본 개념 이론 및 실습 ② 평판 측량 이론 및 실습 ③ 레벨 측량 이론 및 실습 ④ 광파측거기 측량 이론 및 실습 ⑤ GIS(Global Information System)의 이해 ⑥ GIS 분석 및 실습 ⑦ GIS 사례 발표 세미나 등으로 구성된다.
- 분재생산기술 및 실습(Bonsai Production Technology and Practice)
- 분재의 생산과 경영에 필요한 고급기술을 실습 중심으로 학습한다. 분재 시비 및 배양, 병충해, 번식, 정자 등 일반관리와 철사걸이, 분갈이, 합식, 분경, 석부 등 분재수형론, 송백류, 상화류, 상과류, 잡목류 등 분재각론을 실습 중심으로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분재 미학 ② 수형의 기본 연출 ③ 주요 수종의 계절별 관리 ④ 송백류 분재수형 실습 ⑤ 상화류 수형실습 ⑥ 상과류 수형실습 ⑦ 잡목류 수형실습 ⑧ 소나무 수형 연간관리 ⑨ 분재작품 연출법 합식분재 실습 석부작 실습 사리이론 및 연출 분갈이 분재원 경영 실습작품평가 등으로 구성된다.
- 인공지반녹화기술(Artificial Ground Greening Technology)
- 인공구조물이나 공간의 입체녹화를 위하여 설계도서에 따라 자재를 운반하여 녹화기반을 조성하고, 벽면녹화, 인공지반 녹화 및 옥상녹화 등을 조성하는 능력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인공지반녹화 목적 ② 인공지반녹화 효과 및 효용 ③ 인공지반녹화 기술 ④ 인공지반 녹화기술 사례 등으로 구성된다.
- 그린 인테리어 및 실습(Green Interior and Practice)
- 실내조경 및 인공지반 조경에 필요한 계획과 설계, 실내조경 시공기술, 실내환경과 유지관리, 실내조경재료 등을 이론과 실습 등을 병행하여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실내조경의 개념 ② 실내조경 디자인의 원리 ③ 동서양의 실내조경 ④ 실내조경 환경과 유지관리 ⑤ 실내조경 식물재료 ⑥ 테라리움 미니정원 ⑦ 실내조경 자연소재 및 가공소재 ⑧ 실내조경계획 ⑨ Dish Garden Herb Garden 실내조경 설계과정 및 표현기법 수목표현기법 및 설계연습 실내조경컨테이너식재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계획 및 실습 (Landscape Planning and Practice)
-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한 기초과정으로 설계에 대한 이해와 제도 및 표현기법을 숙지하여 정원과 마을 등을 계획하고 설계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조경계획과 설계의 과정 ② 설계의 표현기법 ③ 개념으로부터 형태의 발전 ④ 제도의 기본, 도면의 이해 ⑤ 레터링, 수목표현기법 ⑥ 단면도, 입면도 그리기 ⑦ 스케치연습 ⑧ 정원설계 사례 ⑨ 정원설계 기본도작성 현황분석, 공간설계 및 구상 배식설계 마운딩설계 시설물설계 판넬 만들기 작품발표 및 평가 등으로 구성된다.
- 수목병해충학(Pest and disease of trees)
- 산림과 조경 수목에 피해를 주는 다양한 병해의 감정, 진단, 피해 예방 및 처방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나아가 수목병을 일으키는 병원균과 산림해충의 생활사 및 전염경로, 그리고 병해종류별 식별기술, 방제 및 치료방법을 습득하여 지속적이고 건전한 조경수 및 산림생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수목해충 소개 및 곤충의 형태 ② 곤충의 채집과 분류 ③ 곤충의 생활사 등 생태특성 ④ 해충 종류별 조경수 피해 및 해충 방제법 ⑤ 수목해충 각론 ⑥ 수목병리 소개 ⑦ 수목병의 진단 ⑧ 수목병의 방제 및 선충 ⑨ 수목병해(바이러스, 세균, 파이토프라스마 등) 수목병해(균류) 등으로 구성된다.
- 테마파크조성론및실습(Theme park Development and Practice)
- 조경계획의 실무 및 응용과정으로 수목원, 식물원. 체험농장, 테마농장 등 테마파크를 조성하는데 있어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기본 구상, 기본계획, 기본설계, 실시설계 등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테마파크조성과정 ② 대상지 선정 및 현황 조사 분석 ③ 종합분석 ④ 테마파크 주제 정하기 ⑤ 현황조사 및 분석 ⑥ 개념도 그리기 ⑦ 기본구상 및 대안 설정 ⑧ 시설물계획 ⑨ 작품발표, 전시 및 평가 등으로 구성된다.
- 정원설계 및 실습(Garden Design and Practice)
- 「조경계획 및 설계」의 실무과정으로 정원, 공원, 테마파크계획, 농촌마을계획 등에 대해 조사, 분석, 구상, 기본계획, 기본설계, 실시설계 등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조경계획설계과정 ② 스케일 이해 및 기본도 작성 ③ 대상지 선정 및 현황 조사 분석 ④ 종합분석 ⑤ 정원의 구상 및 정원주제정하기 ⑥ 현황조사 및 분석 ⑦ 개념도 그리기 ⑧ 정원시설물 및 식재설계 ⑨ 기본구상 및 대안 설정 시설물계획 식재계획 기본계획 및 설계 작품발표, 전시 및 평가 등으로 구성된다.
- 농어촌조경디자인 및 실습(Rural landscaping design and Practice)
- 농어촌생활환경 개선과 농어촌자원을 이용한 테마마을 만들기 등에 필요한 조경디자인에 대해 이론과 실습 중심으로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계획과정과 디자인의 개념 ② 농어촌마을 가꾸기 사례 ③ 농어촌 전통조경계획과 설계 ④ 농촌어메니티 자원과 활용 ⑤ 농어촌마을 환경분석 ⑥ 농어촌마을 공간구상 ⑦ 농어촌마을 기본계획 ⑧ 농어촌마을 기본설계 ⑨ 마을계획 평가 및 세미나 농어촌마을정원 기본구상 농어촌마을정원 기본설계 농어촌마을정원 수종의 이해 농어촌마을정원 식재설계 마을정원 평가 및 세미나 농어촌 테마마을 사례 등으로 구성된다.
- 조경의 이해(Understand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 타 학과 및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조경학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과목이다. 세부적으로는 조경의 개념, 조경양식, 공원녹지, 주거단지조경, 레크레이션 관광, 조경계획과 설계의 과정, 조경 사례 등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함으로서 정원가꾸기, 마을만들기 등 실생활과 농장환경개선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조 경의 이해 ② 서양조경사 ③ 동양조경사 ④ 지구온난화 ⑤ 생태도시 ⑥ 생태관광 ⑦ 옥상녹화/벽면녹화 ⑧ 조경이 다루는 공간 ⑨ 조경업무의 절차 식물, 시설물 등 조경재료 국내외 조경사례 분석 등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