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교과소개
전공 필수
- 반추가축영양학(Ruminant Nutrition)
- 반추가축의 생명유지와 소고기 및 우유 생산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에 대한 기초내용과 이들 영양소의 소화, 흡수, 대사 및 이용에 대한 근본원리를 중점적으
로 학습하며 반추가축의 영양소 소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반추가축의 소화기관 해부실습
이 포함되어 있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주요 영양소의 종류 및 특징, ② 반추사축의 소화기 구
조, ③ 주요 영양소의 대사, ④ 에너지 대사, ⑤ 단백질 대사, ⑥ 선진농가 견학 실습 등으로 구성
된다.
- 한우번식학(Beef Cattle Reproduction)
- 한우 번식기관의 이해, 세대 간 특성 및 인공수정 등에 관한 기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가축규모의 효율적인 증가를 위한 한우 번식우 번식 방법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생식세포, ② 번식과 내분비, ③ 성성숙과 성주기, ④ 수정과 착상, ⑤ 임신과 분만, ⑥ 교배와 인공수정 등으로 구성된다.
- 가축유전학(Animal Genetics)
- 가축의 유전양식에 대한 이해 및 동물의 개체유전에 대한 생물적 과정을 이해하도록 학습한다. 동물집단의 유전적 특성의 기초원리를 이해하고 양적유전학 및 집단 유전학의 기초원리를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유전학발달사 ② 세포유전 ③ 멘델유전 ④ 유전자 기능 ⑤ 모색유전, 유전적 기형 ⑥집단유전학 등으로 구성된다.
- 반추가축위생학(Ruminant Health Science)
- 대가축의 정상적인 생산, 건강 유지 및 질병 예방을 위한 평상시의 건강 점검, 환경관리, 정기적인 소독, 구충, 예방접종 등의 방역프로그램 수립, 환축의 조기발견 등 대가축 전문 경영인이 준수해야 할 대가축 질병 예방관리 사항과 약품 취급, 투약, 예방접종 요령 등 실용기술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환축의 조기발견 방법, ② 호흡기계 구조와 작용, ③ 소화기 기능장애의 발현, ④ 소화기계의 질병, ⑤ 광물질·비타민 결핍증, ⑥ 번식장애, 생식기계 질병 등으로 구성된다.
- 한우기초및실습(Basic Beef Cattle Production and Practice)
- 한우의 전업 또는 겸업농가로서 한우의 사육과 경영관리를 효율적으로 해 나가기 위해, 고급육 생산을 위한 사육단계별 사양과 비육, 개량, 번식, 사료수급, 시설 · 기기 관리 등 기초적인 실용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반추가축의 소화생리, ② 소고기 등급 판정 현장 견학 ③ 고급육 생산기술 , ④ 한우 초음파 진단 실습, ⑤ 과산증 심층분석, ⑥ 번식우 사양관리 등으로 구성된다.
- 한우개량(Beef Cattle Improvement)
- 한우의 생산성 향상과 육량 및 육질을 높이기 위한 개량방법 및 우수 종축확보방법에 관한 기초 지식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한우 개량의 개요 및 주요 통계량의 이해, ② 하디와인버그 평형이론, ③ 양적형질 유전모형론, ④ 유전력과 반복력의 개념과 추정, ⑤ 유전적 개량 량과 유전 상관, ⑥ 교배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⑦ 국내 한우 개량체계 등으로 구성된다.
- 한우창업세미나(Beef Cattle Farm Management Seminar)
- 1학년 학교교육과 2학년 장기현장실습을 통하여 얻은 경험과 지식(사양관리, 번식관리, 개량관리, 위생관리, 시설관리 및 출하관리 등 생산 분야)의 바탕 위에 경영계획을 접목하여 2학기 창업논문 작성 시 도움이 되도록 논문의 개념을 파악하고 자료수집과 발표를 통하여 창업설계의 기본적인 소양을 갖춤
- 한우사양관리및실습(Beef Cattle Management and Practice)
- 장기현장실습을 통하여 얻어진 한우 사양관리(송아지기, 육성기, 비육기, 번식우, 고급육 생산, 출하 등) 주요 기술의 근본원리를 이해하고 토론식 수업을 통하여 각 실습농장별 사양관리 장점을 숙지함으로써 향후 자기농장 경영 시 보다 효율적이고 창조적인 한우사양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이유 전후 사양관리 심층분석, ② 송아지 설사 심층분석, ③ 영양소 이용, ④ 거세한우 사양관리 심층분석, ⑤ 고급육 생산기술 심층분석, ⑥ 선진농장 견학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 반추미생물학(Introduction of Rumen Microbiology)
- 반추동물 영양학의 기본인 반추위 미생물의 종류 및 생리를 이해하고 한우와 젖소의 사양단계별 반추위 미생물 균총의 변화와 반추 동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반추위 구조 및 기능 ② 반추위 박테리아 특성 이해 ③ 반추 혐기 곰팡이 특성 이해 ④ 반추위 프로토조아 특성 이해 ⑤ 반추동물 생산성과 반추위 미생물 이해 ⑥ 반추동물 사양단계별 미생물 균총 이해 등으로 구성한다.
- 한우창업논문지도(Thesis Writing of Beef Cattle Farm Management)
- 한우 전문경영인 육성을 위하여 장기현장실습내용을 토대로 하여 졸업 후에 자가 농장의 신규창업 및 영농승계 확대발전 창업의 계획수립을 위하여 필요한 한우의 경영 유형에 대한 개인별 창업계획을 수립하여 전문 한우 경영인의 토대를 마련 함.
- 한우사료제조및실습(Beef Cattle Feed Formulation and Practice)
- 한우 사료 배합비 프로그램 운영 방법의 이해와 실습을 통하여 한우의 생산성(육량 및 육질) 향상을 위한 사료급여체계 원리를 이해하고 이론적으로 축적된 지식을 응용함으로써 한우목장성적 향상에 대한 자신감을 배양한다. 또한 자기 목장의 사료급여체계 방법을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한우현장내용을 경험하고 목장 경영비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료비의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한우 사료 배합비 프로그램의 원리 및 용어정리, ② 사료 배합비 프로그램의 운영 ③ 사료 배합비 프로그램의 운영 실습, ④ 자가목장 사료 배합비 작성 및 발표, ⑤ 한우 BCS, ⑥ 선진 목장 견학 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전공 선택
- 축산학개론(Introduction of Animal Science)
- 축산관련 전공교과목의 원활한 학습 및 교과목의 이해
를 돕기 위한 축산 전반에 걸친 과학적 기본개념과 용어 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가축의 일상생
활, 관리, 사육, 영양, 개량, 번식, 위생 등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국내
축산현황과 전망, ② 가축품종, ③ 가축영양과 사양, ④ 사료와 초지, ⑤ 동물사육관리, ⑥ 축사시설
과 분뇨처리 등으로 구성된다.
- 반추가축생리학(Ruminant Physiology)
- 반추가축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작용을 자연과학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그 법칙성을 탐구함으로 생명과학의 기초를 이해시키고 습득된 기초지식에 의하여 반추가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증가시킨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반추가축생리 개론, ② 세포생리, ③ 혈액, ④ 순환계, ⑤ 대사생리, ⑥ 신장의 기능 등으로 구성된다.
- 반추가축사료학(Ruminant Feed Science and Technology)
- 반추가축이 섭취하는 각종 사료 원료의 영양적 함량, 사료적 가치, 가공방법 및 효율적인 이용방법 등에 관한 전문지식을 학습하는 교과목으로써 이론 강의 이외에 사료의 품질관리 이해를 돕기 위한 사료의 원료성분 분석 실습 및 사료의 생산 공정 이해를 위한 배합사료생산공장 및 TMR 공장 견학 실습이 포함되어 있다.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사료 배합표 작성, ② 배합사료의 제조, ③ 사료의 가공기술, ④ 사료의 품질관리, ⑤ 농후사료 및 조사료의 종류 및 사료적 가치 ⑥ 건초와 사일리지의 제조 및 특성 등으로 구성된다.
- 반추가축사육시설(Farm Facilities for Beef and Dairy Cattle)
- 축사위치 선정과 기본 사육시설 설치 요령, 가축 분뇨처리 시설 및 관련 법규 등 대가축사육시설 전반에 관한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대가축 사육시설 개요와 정책방향, ② 친환경 축산기술과 미생물제제 이용, ③ 한우·젖소 시설 설계 및 환경관리, ④ 가축의 사육환경기준 및 환경계측, ⑤ 대가축 분뇨 퇴·액비화, 정화처리 기술, ⑥ 가축분뇨 바이오가스 생산 등으로 구성된다.
- 한우인공수정및실습(Beef Cattle Artificial Insemination and Practice)
- 한우의 개량과 증식을 위한 인공수정 기술을 익히고, 가축인공수정 면허를 취득하고자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가축의 생식기 구조와 생리, 생식세포와 호르몬, 정액 채취방법과 정액제조, 정액보관, 인공수정 방법의 실제 등 실용기술을 습득토록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자가 인공수정의 개황, ② 생식세포와 호르몬, ③ 자가 인공수정의 실제, ④ 가축 정액의 제조, ⑤ 수태율 향상방안, ⑥ 가축의 분만 등으로 구성된다.
- 친환경축산(Environment-Friendly Livestock Management)
- 환경보호 및 발전을 위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축산이 요구되고 있는바 이런 부분에서 축산업이 갖추어야 할 내용 및 고품질의 축산물 생산을 위한 친환경 축산경영방법들에 대해 지식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분뇨의 자원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친환경 축산의 개념 이해, ② 친환경 축산의 정책방향, ③ 유기축산 무항생제 축산의 현황과 전망, ④ 유기축산물의 생산기준, ⑤ 환경 친화축산농장 지정기준, ⑥ 환경 친화축산 직불제 등으로 구성된다.
- 한우이슈(Current Issues of Beef Cattle Production)
- 한우 산업 관련 분야의 핵심전문가들을 초정하여 특강을 청취함으로써 졸업 후 자기 농장의 창업 및 승계발전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고 질의 응답 및 토론을 통하여 미래의 대가축전문경영인으로서의 소질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응용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한우육종실무(Beef Cattle Breeding Practice)
- 한우개량을 위한 육종목표 및 계획을 직접 작성해보며 경제형질들에 대한 유전변이 분석과 실질적 한우육종 방법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고 이해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한우개량계획 설정 ② 선발방법 ③ 교배방법 ④ 근교계수, 혈연계수 구하기 ⑤ 교배계획 프로그램 활용 등으로 구성된다.
- 조사료생산이용(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 한우와 낙농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조사료의 생산과 이용을 위하여, 초지의 조성 및 관리이용, 옥수수, 호밀 등 주요 밭사료 작물과 논뒷그루 사료작물 등에 대한 다수확재배기술, 수확 및 저장, 이용 등에 관한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조사료의 중요성, ② 사료작물의 종류와 재배특성, ③ 사료작물 종자생산 및 보급, ④ 사료작물 작부체계 설정, ⑤ 조사료 저장 기술, ⑥ 초지 관리 및 이용 등으로 구성된다.
- 축산법규및정책(Livestock Legislation and Policies)
- 축산법, 가축전염병예방법, 동물윤리법 등 축산업을 경영하는데 관련되거나 꼭 알아야 할 법규에 대해서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축산법관련 가축개량 및 인공수정, ② 축산업 관련 법령, ③ 축산물 위생관리법, ④ 소 및 쇠고기 이력에 관한 법, ⑤ 가축분뇨처리 관련 법, ⑥ 축산업 허가제 주요 내용 등으로 구성된다.
- 반추가축질병학(Beef and Dairy Cattle Disease)
- 건강한 대가축 사육을 통하여 우수한 축산물을 생산 할 수 있도록 대가축 질병의 증상, 원인, 예방관리 사항들에 관하여 전문지식을 교육하고, 능동적인 방법으로 질병관리방안을 해결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소에게 걸리기 쉬운 질병, ② 질병의 조기 발견, ③ 소화기 질병 치료의 개념, ④ 호흡기계 질병 치료 개념, ⑤ 송아지 질병 특성, ⑥ 약물과 치료의 실제 등으로 구성된다.
- 축산경영실무(Practical Business Management of Beef and Dairy Farm)
- 한우와 낙농산업 현장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한우와 낙농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관계자들을 초빙하여 강의를 듣고 질문을 통하여 자기집 농장 경영에 접목시킴으로써 졸업 후 선도적인 경영주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