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공심화
교과과정
교과과정
구분 |
1학기 |
2학기 |
교과목 |
학점/시수 |
교과목 |
학점/시수 |
필수 |
분초화특론 |
2/2 |
분초화경영특론 |
2/2 |
절화생산특론 |
2/2 |
절화경영특론 |
2/2 |
화훼병해관리 |
2/2 |
화훼충해관리 |
2/2 |
선택 |
화훼육종실제 |
2/2 |
화훼장식특론 |
2/2 |
조직배양응용 |
2/2 |
화훼생명공학 |
2/2 |
교과목 소개
전공 필수
- 분초화특론(Advanced Pot plant Production)
- 분초화 작목의 학문적 이론을 바탕으로 품종의 선택, 생산시설 환경 개선, 생리 생태를 이용한 작기 개발, 화아 분화 생리를 이용한 개화기 조절방법, 환경 개선에 따른 병충해예방, 고가격 출하 등 고품질 저비용 생산방법을 학습한다.
- 절화생산특론(Advanced Cut flower Production)
- 농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절화류의 샌산 및 수출동향을 주제로 하여 시장에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절화류 종류와 신품종에 대하여 강의하고 시설의 현대화, 자동화와 스마트 팜 등의 주제로 세미나와 강의를 통해 진행한다.
- 화훼병해관리(Disease Control of Flower)
- 화훼작물에 주로 발생하는 진균, 세균, 바이러스 병을 비롯하여 각종 생리장해의 원인과 증상, 예방과 치료의 원리, 각종 병해의 형태, 분류, 생리 및 생태, 식물의 병 저항성 기작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농업현장에서 화훼작물의 피해증상을 쉽게 진단하고 방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① 식물 병의 개념과 경제적 중요성 ② 병원균의 종류의 특성 ③ 식물체의 방어기작 ④ 전염성 병의 진전에 대한 환경의 영향 ⑤ 주요 화훼류 병해의 진단과 방제의 필요성 ⑥ 화훼병해관리를 위한 종합적 방제 등으로 구성된다.
- 분초화경영특론(Advanced Management of Pot plant Production)
- 분초화 등 저비용 고품질 분초화를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영을 위하여, 품종선택, 인건비 절감대책, 난방비 절감대책, 재료비 절감대책, 여름철 고온대책, 개화생리를 바탕으로 한 출하기 조절, 효율적 유통판매대책 등에 대한 세미나와 강의로 학습한다.
- 절화경영특론(Advanced Management of Cut flower Production)
- 농장운영에 필요한 소요자재 및 경영에 관한 주제로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 및 꽃판매촉진과 생산량 증대방안으로 구성되며 농장창업과 운영의 애로사항등을 세미나와 강의를 통해 진행한다.
- 화훼충해관리(Insect Control of Flower)
- 화훼작물에 주로 발생하는 원생동물, 선충, 응애, 곤충 등의 피해에 대한 예방과 방제의 원리, 각종 충해의 형태, 분류, 생리 및 생태, 식물의 해충 저항성 기작 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농업현장에서 화훼작물의 해충 피해증상을 쉽게 진단하고 방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① 농업 해충의 분류와 형태 ② 농업 해충의 생리와 생태 ③ 식물체의 방어기작 ④ 해충 피해 발생에 대한 환경의 영향 ⑤ 주요 화훼류 충해의 진단과 방제의 필요성 ⑥ 화훼충해관리를 위한 종합적 방제 등으로 구성된다.
전공 선택
- 화훼육종실제(Practical Flower Breeding)
- 화훼경영현장에서 실제적인 응용 육종을 위한 화종별 교배, 채종방법, 교배육종방법, 잡종강세 극대화방안, 다양한 변이창출방법, 품종등록요령 등에 대하여 실습 및 학습을 한다.
- 조직배양응용(Application of Plant Tissue Culture)
- 화훼류 조직배양실 경영에 필요한 시설과 설비, 배양실의 최적 환경관리 모델, 바이러스프리 우량종묘 생산을 위한 식물조직배양의 실제, 작물별 최적화 배지 조성 이론, 식물체의 순화 및 보급, 유통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각종 배양방법에 대한 실무·실습을 통하여 조직배양 기술을 익힌다. 주요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식물조직배양의 실제 ② 조직배양실 운용 설비 ③ 기내배양 최적화 환경관리 모델 ④ 작물별 최적화 배지 조성 이론 ⑤ 바이러스프리 우량종묘 생산과 검정 ⑥ 조직배양묘 순화와 환경 관리 ⑦ 조직배양묘 유통 관리 등으로 구성된다.
- 화훼장식특론(Advanced Flower Design)
- 화훼류의 다양한 소재를 바탕으로 개인의 창의력과 표현능력을 통해 효율적이고 미적인 디자인으로 고품질, 고부가가치 화훼장식에 대한 기술을 강의와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 화훼생명공학(Flower Biotechnology)
- 종자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생명공학기술의 개념을 정의하고 농업을 비롯한 화훼산업 분야에서의 생명공학기술의 활용 현황과 가능성을 설명한다. 특히, 화훼류 신품종을 육성하는데 생명공학적 기법이 어떻게 쓰여지고 있으며, 실제로 이 기술을 활용하여 육성된 신품종들의 재배현황 및 신품종 개발 가능성에 관하여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