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네비게이션

미래 농어업을 선도하는 창의적 인재 육성 대학

본문내용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URL 주소복사
  • 오류신고
  • 페이지 인쇄기능

교과소개

전공 필수 교과목 해설

식량작물응용생산실습(Advanced Practices of Crop Production)
본 교과는 식량작물 기초생산 및 실습교과를 통하여 작물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한 식량작물학과 1학년 학생에게 식량작물 재배에 대한 친환경, 경영비 절감 및 마케팅을 염두에 두고 주요 작업 단계별 기초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작물에 대한 기초 재배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주요 교육내용은 1) 수도작 - 벼 재배기간 생식생장기~수확 및 수확 후 처리기간에 이루어지는 벼 생육진단을 위한 벼 출수기 진단, 엽색도 측정기술, 주요 논 잡초 및 병해충 표본수집, 병해충예찰과 최적 방제시기 판단기준, 벼 주요 기상재해 종류와 대책, 벼 성숙기 생육과 작황조사, 벼 수확과 수확 후 처리기술, 콤바인 수확작업 실습, RPC 운영기술 및 경영노하우 습득, 쌀의 품질과 식미조사법에 관한 지식과 기능, 2) 전작 - 재배단계별 토양관리기술, 환경에 따른 대처기술, 재배 단계별 시비방법, 병충해 예찰 및 방제, 수확 및 조제 등에 대한 이론 강의와 전반기에 파종을 한 옥수수, 콩, 고구마 등의 중기 및 후기 관리기술 및 감자, 맥류에 대한 실습으로, 수도작과 전작으로 구분하여 실습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재배원론(Fundamentals and Principles of Crop Cultivation)
재배원론은 농학도가 가장 먼저 접하는 학문으로, 작물의 기원, 품종, 유전⋅육종, 재배환경 및 재배기술 등 작물의 생산기술에 필요한 종합적인 이론 강의를 실시함으로써 농학도로서의 자질 향상과 전문농업경영인으로서의 기초소양을 기르고자 한다. 주요 교육내용은 ① 작물재배의 분화, 발달 및 작물의 분류, ② 작물의 유전성(품종의 개념과 육종의 기초), ③ 작물의 재배환경(환경의 개념, 토양, 수분, 공기, 온도, 광 등), ④ 재배기술(작부체계, 종묘, 시비기술, 잡초방제기술, 병해충방제기술, 재해방제기술 등) 등에 대한 이론교육을 실시한다.
작물생리(Crop Physiology)
작물생리교과는 식량작물을 전공하는 학생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작물생리의 기초이론, 작물의 생장생육 원리, 실험⋅실기⋅실습 등을 배우는 교과내용이다. 작물의 기본구조와 조직, 세포의 구조와 기능, 물의 특성과 수분생리, 재배작물의 필수원소와 무기양분의 흡수 및 동화, 작물의 광합성, 작물의 호흡과 광호흡, 동화물질의 전류, 작물의 휴면종자의 발아생리, 작물의 생장해석과 개화생리, 작물의 결실과 노화, 수확 후 생리, 작물호르몬 및 환경 스트레스 생리, 작물의 주요 대사 등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강의가 이루어진다.
창업세미나(수도작・전작)(Seminar for Farm Operation Planing)
졸업 후 영농창업(승계)을 대비하여 농장에 대한 기초조사(영농정착지역의 현황, 자기 집의 경영유형, 영농규모, 기술수준 및 생산현황, 가용 노동력의 확보상황, 부채상황 등 파악)와 경영모형의 예비설계(중장기 목표설정, 경영유형과 그에 맞는 최적기술의 선택, 생산계획, 자재 및 자금조달계획, 유통계획 등)를 통하여 현실성 있는 계획을 수립하여 성공적인 영농정착을 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영농설계 작성요령, 농장 경영을 위해 필요한 농업 관련 법규, 경영작목에 대한 재배기술, 유통 및 마케팅, 농장 운영을 위한 제반사항에 대하여 조사하고 발표를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표준화되고 현실적인 논문작성을 위한 예비조사과정으로 진행하고 기본구상안을 제출하게 한다.
토양비료학(Soil Science and Fertilizer)
토양학은 작물, 과채류, 화훼, 축산, 산림조경분야 전공 학생이 기본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이론, 실기실무를 배우는 교과내용이다. 농업과 토양의 정의, 토양의 구성, 토양의 생태적인 기능, 토양과 작물생육, 토양과 암석의 종류, 토양의 생성과 발달, 토양조사와 분류방법, 토양의 물리적 성질, 토양수분, 토양의 화학적 성질, 산성토양과 알칼리성토양의 원인과 개량, 토양생물과 유기물, 토양 중 양분의 변환과 동토양학은 실용중심으로 강의가 이루어지며 현지 토양의 시료 채취와 디지털 태, 토양침식과 보전, 논․밭 토양의 종합적 관리, 토양오염, 비료와 시비 등으로 구성된다. 토양학은 실용중심으로 강의와 현지 토양의 시료 채취와 디지털 측정, 분석, 처방과 개량 등의 실기가 이루어지며, 토양도의 전산화, GIS 및 RS 기술의 접근, 친환경적인 토양비옥도 관리기술, 무토양(수경) 재배기술, 정밀시비관리 등의 최신기술도 공부한다.
잡초방제학(Weed Control)
잡초방제학은 식량작물을 전공하는 학생이 기본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이론과 실기실무 교과이다. 농업과 잡초의 역사, 잡초방제의 중요성, 잡초에 대한 정의와 올바른 이해, 잡초방제 및 관리, 종합적 잡초관리(IWM, Integrated Weed Management)의 중요성, 잡초군락과 천이, 잡초방제기술, 제초제의 종류와 논⋅밭⋅비경지 등에 대한 제초제의 올바른 사용, 제초제의 식물체 흡수기작, 식물체 내 이동 원리, 식물체 내 작용기작, 제초제의 선택성과 작용성, 제초제와 환경(수질, 토양, 대기, 미생물 등), 제초제의 상호작용, 제초제 농도계산법, 올바른 포장살포방법, 제초제의 약효, 약해, 안전 사용 및 독성 등으로 구성된다.
창업논문작성(Writing Farm Operation Plan)
1학기 창업세미나에서 준비한 영농창업(승계)의 기초조사(정착지역의 현황, 자기 집의 경영유형, 영농규모, 기술수준 및 생산현황, 가용 노동력의 확보상황, 부채상황 등 파악)와 경영모형의 예비설계(중장기 목표설정, 경영유형과 그에 맞는 최적기술의 선택, 생산계획, 자재 및 자금조달계획, 유통계획 등)를 통하여 현실성 있는 설계서를 수립하여 성공적인 영농정착을 기하기 위한 교과이다. 주로 ① 1학기에 제출한 기본구상안 검토, ② 개인별 창업계획의 발표, ③ 전체특강(공통으로 필요한 농업정책자금의 종류, 농식품 창업아이템을 보호하는 지식재산권, 농업법인 세제지원 및 설립운영 등) ④ 논문 작성에 필요한 엑셀프로그램 운용에 대한 강의 등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창업논문을 발표하고 제출한다.
작물최신기술및산업동향(Issues on Field Crop Production)
식량작물학과 3학년 학생으로서 지금까지 전공(수도작, 전작, 복합)교과에서 배웠던 내용에 대하여 최근 문제기술 및 향후 방향에 관한 전문지식 및 현장 이슈기술을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하여 배운다. 주요 내용은 수도작 분야에서는 ① 세계 식량산업 현황 및 향후방향, ② 유기농 쌀 생산기술, ③ 최신 벼 직파재배기술, ④ 수도작과 농촌관광에 대하여 전문가를 초청하여 강의를 하고, 전작 분야에서는 ① 전작의 발전방향, ② 서류(감자산업발전방향과 씨감자 퇴화 방지기술, 고구마의 부가가치 향상방안 등), ③ 전작물의 병해충 방제 기술에 대하여 전문가를 초청하여 배우게 한다.
식량작물병해충방제(Crop Protection)
작물보호분야는 작물의 생산성과 식품 안전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물보호학 교과는 작물의 생육기간 중 병해충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예찰 및 방제에 필요한 수단을 습득하는 데 목적을 둔다. 강의는 작물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에 대한 기초지식과 이에 대한 방제기술을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주안점을 두고 이론 위주의 교육을 진행한다. 주요 강의내용은 ① 작물보호학의 정의, ② 식물 병의 역사, ③ 병원의 종류와 병원성, ④ 식물 병원체의 분류 및 특성, ⑤ 병의 발생과 환경 요인, ⑥ 작물 병의 병징과 진단, ⑦ 주요 식량작물 병의 발생과 방제, ⑧ 곤충에 대한 이해, ⑨ 곤충의 분류, ⑩ 곤충의 형태와 생태, ⑪ 해충과 익충에 대한 이해, ⑫ 해충의 방제기술(생태적, 물리적, 화학적), ⑬ 식량작물, 채소, 과수 등의 해충과 방제기술로 구성되며, 작물병리와 해충방제로 구분하여 교육을 실시한다.

전공 선택 교과목 해설

식량작물기초생산실습(Fundamentals and Practices of Crop Production)
식량작물기초생산 및 실습교과는 식량작물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식량작물(수도작, 전작)의 주요 형태와 생장생리 및 생육과정의 주요 작업 단계별 이론교육과 실습을 통하여 기초 재배기술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은 수도작⋅전작의 기초이론교육과 식량작물(쌀, 옥수수, 고구마, 감자, 콩, 보리 등) 재배실습을 통해 파종, 시비방법, 병충해 방제, 수확 및 조제 등 식량작물 재배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연구소 및 선진농가 견학을 통해 경영능력을 배양하여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기술인을 양성하도록 한다. 이론교육 시에는 개인별(조별)로 부여한 과제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하여 수강생의 지도자적 역량을 기르도록 한다.
스마트영농기초실습(Practices of Smart Farming in Field Crops)
스마트영농기초실습 교과는 식량작물을 전공하는 학생이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재배기술을 실험, 실습을 통해 학습하는 교과이다. 주요 교육내용은 벼 재배기간 영양생장기 이전에 이루어지는 현장 본답준비, 종자선택 및 준비요령, 이앙 및 직파재배 관리과정의 지식과 기능, 전반기에 파종이 되는 옥수수, 콩, 고구마 등의 파종을 위한 실습으로 토양관리(경운⋅정지, 이랑세우기, 비료주기 등), 파종 및 삽식을 위한 작업(파종 및 삽식량 계산, 재식거리 등), 파종 후 관리기술(제초, 북주기, 병해충 방지 등) 등 식량작물(수도작⋅전작)의 파종부터 관리까지 봄, 여름 기간동안 이루어지는 주요 작업 단계별 재배실습을 통하여 식량작물에 대한 기초 스마트 재배 및 농작업을 학습하는 현장중심의 실무교과이다.
무인항공영농기술(Unmanned Aerial Farming Technology)
최근 농업용 무인기(농업용 드론 및 무인헬기-직파, 시비, 농약살포, 친환경제제 살포, 이모작(동계사료작물) 파종, 농업용 무인보트-제초제 살포 등)의 활용이 늘고 있으며, 경영성과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무인항공영농기술 교과는 이러한 추세에 맞춰 식량작물을 전공하는 학생의 논⋅밭농업의 규모화, 단지화, 들녘경영체 경영에 적용하기 위한 무인항공기술의 농업적 활용교육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강의내용은 무인항공기술의 발달사, 무인항공기술 이용 농작업의 필요성, 특⋅장점, 이용분야, 농업용 무인항공(무인헬기, 드론)의 기체, 장비구조, 비행원리의 이해, 조종기술, 현장비행실습, 농업용 무인항공의 안전운용, 시뮬레이션 및 현장실습, 다양한 국내외 농업용 무인항공의 소개, 농업용 무인항공용 농약의 특성과 살포농약 조제법 등으로 구성된다.
작물유전학(Food Crops Genetics)
생물을 구성하는 세포·기관과 개체는 염색체와 세포질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의해 생명현상이 개시되고 유지되며, 형태가 구성된다. 유전물질인 데옥시리보핵산(DNA)의 구조가 구명되기 이전에는 주로 세포유전학적인 설명과 형태적인 유전에 관심이 있었으나, DNA의 구조가 밝혀진 후에는 유전물질의 염기배열과 단백질의 구성과 효능, 유전자의 염기배열 정보와 그 이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농업생산은 유전자가 적당한 환경에서 발현되어 이루는 영양물질의 축적에 따른 결과물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유전자가 중심이 되는 유전학의 학습은 생명현상의 근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발전되는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의 이해와 활용에 도움이 된다. 본 강좌에서는 생물의 유전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세포분열과 생식과정의 학습을 통한 멘델유전학, 유전자의 상호작용과 세포질유전 등을 알아보고, DNA의 구조와 성질, 그리고 생명체의 각종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단백질)의 합성 과정을 알아본다.
노지스마트농업기초(Fundamentals of field smart agriculture)
스마트농업(Smart agriculture)이란 복잡한 농업환경 시스템을 작물생장생육에 최적화하기 위한 정보 및 데이터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인프라 농업을 말한다. 크게 시설에서 재배하는 스마트팜과 논, 밭에서 적용하는 노지스마트농업으로 구별된다. 노지스마트농업기초 교과는 논, 밭작물 재배생산과정에서 데이터 기반 최적 생장생육관리를 통한 생산성 향상 기초기술에 대한 실무 교과이다.
스마트필드응용실습(Advanced Smart Farming in Field Crops)
스마트필드응용실습 교과는 식량작물을 전공하는 학생이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재배기술을 실험과 실습을 통해 학습하는 교과이다. 농업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한 식량작물학과 1학년 학생이 스마트필드응용실습을 통하여 추계~동계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식량작물의 재배 주요 작업 단계별 기초 기술을 학습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한 현장중심의 실무교과이다.
작물생태학(Agricultural Ecology)
친환경 농산물 생산은 농업인은 물론 소비자의 건강을 보장하는 방법으로서, 선진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적극적인 방법으로 농업생산 체계에 도입하고 있다. 친환경 농산물 생산군의 생장과 소멸, 개체군 간의 상호작용, 공생 등을 학습하고, 농업생태계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종의 공생과 다양성 등에 대해 공부한다.
종자생산관리(Seed Production)
종자는 대부분의 작물에서 최종 생산물로 수확된 후 유통되고 소비되며 다음 작기의 생산을 위해 파종된다. 종자는 대부분 육종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품종의 운반체로서 적절한 생산관리와 수확 후 처리를 거쳐야만 파종 후 발아율과 발아세가 높게 된다. 종자생산관리 과목에서는 종자의 형성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생산하기 위하여 포장과 종자가공공장 및 실험실에서 전개되는 과정에 관련된 학문적 기술적 측면을 이해하며, 이들을 응용하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내외 종자관련 법령과 제도와 종자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종자생산을 위한 실무적인 능력을 갖추게 한다.
작물개량(Crop Improvement)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재배하는 식물이 형태적으로 다양하고 기능적으로도 다양한 것은 신석기 시대 이후에 자연에서 채집한 다양한 식물을 용도에 알맞게 개량하여 왔기 때문이다. 한편, 식물의 형질을 조절하는 것이 유전자라는 것이 밝혀지고 유전자의 기본 구조까지 밝혀진 지금은 각 나라가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여 농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작물개량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농업인이 작물개량 기술과 과정을 알게 되면 재배하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재배한 식물에서 다음 해에 쓸 종자를 구분하여 남겨 놓을 수 있으며, 채종사업을 직접 영위하여 소득을 향상할 수도 있다. 강의는 작물의 품종육성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유전변이의 탐색과 작성, 변이의 선발과 고정, 여러 가지 육종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하고, 신품종의 증식과 보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알맞은 품종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노지스마트농업응용(Application of field smart agriculture)
노지스마트농업응용 교과는 주요 식량작물재배과정에서 논밭의 정밀균평작업, 정밀파종 및 정식, 토양수분 데이터 기반 밭작물의 최적 포장 용수량 관리, 엽색(Leaf color), 엽면적 지수, 포장군락에 따른 정밀양분관리, 잡초 및 병해충 예찰기반 정밀방제, 수량 및 품질 모니터링, 기후변화대응, 재해대책 및 조사를 통한 정밀도 향상과 과학적인 농업 응용기술이다.
수도작 및 실습(Rice Science and Practices)
식량작물 수도작 전공 학생이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수도작 경영실습의 이론, 실험, 실기, 실습교과의 내용으로 주로 친환경 유기농 정밀농업 벼 재배기술로 이루어진다. 화학비료 살포방법이 관행의 면(Area, 전층 및 표층시비)에서 최근 친환경 측조(Line)시비기술의 확대보급에 따른 신기술의 이론, 원리, 심화 및 응용실습과 친환경 정밀 파종상비료 및 직파전용 피복 비료이용 점(Spot)시비 기술의 이론, 원리, 실기실습을 다룬다. 국내 친환경 벼 재배기술로 정착되고 있으나 환경생태계교란 등으로 전면적인 확대보급이 제한되고 있는 우렁이농법기술의 장단점 이해, 생분해성(CO2+H2O) 필름/종이 이용 물리적 잡초방제기술, 로봇제초기 등을 이용한 기계적 잡초방제기술, 무인기(농업무인헬기, 농업용 드론, 농업용 무인보트 등)의 친환경 농업적이용, GAP 쌀 생산기술, 논의 공익적 기능 등에 대한 내용으로 2학기에 강의, 실기실습, 현장견학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전작 및 실습(Upland Crops Science and Practices)
전작 심화 실습교육으로 영농창업을 대비한 전작물(맥류, 두류, 잡곡류, 서류)의 주요 작업 단계별 재배핵심기술(우량품종 구비조건, 발육 및 생리적 특성, 재배환경, 시비방법, 병충해 방제, 수확 및 조제 등)에 대한 개인별(조별) 지정과제의 발표를 통한 적극적인 참여식 교육으로 지도자적 역량을 키우고 전문 기술인으로 양성하고자 한다. 이 교과에서는 주로 ① 잡곡의 이용(수수, 조, 기장, 메밀, 녹두, 팥, 율무 등의 재배기술과 기능성), ② 두류의 이용(콩 품종의 주요특성, 생리현상 및 기능성, 하대두(풋콩)의 핵심재배기술) ③ 옥수수의 이용(식용옥수수 품종 및 재배유형, 찰옥수수 품종별 특성 및 재배법, 이식재배 시 적정육묘일수, 찰옥수수 논 재배 및 2모작 효과, 초당옥수수의 생산, 친환경생산 및 잡초방제기술 등), ④ 서류의 이용(친환경 고구마재배기술, 친환경 감자재배기술, 유기질비료의 이용기술, 씨감자 관련 심화자료 등)에 대하여 현장 중심의 기술을 강의한다.
친환경작물재배(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친환경 농업이란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의 생산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농업형태로서 농업생산의 경제성 확보, 환경보존 및 농산물의 안전성을 동시 추구하는 농업의 방식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증산 위주로 농약, 비료에 의존한 결과 농업환경(토양, 수질, 대기 등)이 악화되어 농업생산의 지속성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식품안전을 생각하는 국제 농업환경과 국내 소비자의 기호 변화와 맞물려 친환경․유기농업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 농업 교과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친환경 농업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친환경 재배와 관리에 대한 이론을 습득한다. 또한 농업환경을 유지⋅보전하고 고품질 안전 농산물에 대한 소비패턴 변화에 맞춰 생산성과 경제성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 강구한다.
사료작물재배생산이용(Forage Crops)
사료작물재배생산이용은 작물학의 한 분과이지만, 가축과 가금의 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식물들을 다루므로 사료를 이용하는 축산분야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축 사양은 외국에서 도입되는 사료용 곡물로 만들어진 배합사료의 의존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국내 자원을 활용하는 조사료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축산경영의 합리화에 필수적이다. 국토가 협소하고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농업환경을 고려할 때 사료작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것은 한정된 토지에서 품질 좋은 조사료를 최대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현장에서 조사료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식물⋅토양 및 기상의 기본개념을 알아보고, 사료작물의 생리⋅재배적 특성과 더불어 최대생산 및 이용 기술에 대해 강의한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에서 조사료 생산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겨울철 휴경 논을 이용한 답리작 사료작물의 생산과 이용기술을 중점적으로 강의하며, 가축 사양과 사료작물과의 관계도 알아본다. 이 과목을 수강하게 되면 수강자 스스로가 농가 현장에서 축산 경영비를 줄이기 위해 자급용 조사료를 연중 생산할 수 있도록 ‘조사료 자급설계’ 능력을 구비하게 한다.
디지털농업작물기초(Fundamentals of digital agriculture)
디지털 농업(Digital agriculture)이란 작물재배 생산 유통 소비관련 데이터를 디지털 형식으로 수집, 저장, 분석하여 농업인의 경험과 직관에 의한 의사결정을 딥러닝, AI를 통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농업을 말한다. 디지털농업작물기초교과는 자동화로 노동력 절감, 생산성 향상 및 기후변화대응 생산 안정화 기술에 대한 실무기초교과이다.
작물재배생산체계(Cropping system)
작물재배생산체계는 논, 밭에서 재배작물 종류의 조합, 배열의 방식을 말한다. 연작(Continuous cropping)과 기지(Soil sickness), 윤작(Crop rotation), 답전윤환, 혼파(Mixed seeding) 및 혼작, 간작(Intercropping), 교호작(엇갈아짓기, Row intercropping), 주위작(둘레짓기, 논두렁콩 등)으로 토지이용효율, 노동력, 농기계, 농자재, 잡초 및 병해충 관리, 생산성 및 농가소득을 높이기 위한 현장중심의 실무교육이다.
수도작경영 및 실습(Management and Practice of Rice Production)
식량작물의 수도작을 전공하는 학생이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수도작 심화실습의 이론⋅실험⋅실기⋅실습 교과 내용으로, 1학년 식량작물 기초생산 및 실습과 식량작물응용생산 및 실습(선수 교과목) 교과내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졸업 후 현장창업 및 승계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무심화 내용으로 교육한다. 최근 벼 기계이앙재배기술(무복토 육묘-못자리, 소식재배 등)의 동향, 기계이앙, 직파, 친환경(유기농) 벼 재배기술의 실제기술로써 논둑 튼튼하게 잘 만들기, 경운작업의 필요성(SBZ이론), 정밀 균평 작업의 중요성과 실제(레이저균평작업과 우렁이농법, 직파, 정밀담수깊이에 따른 양분, 제초제의 균일한 농도 유지, 중간낙수, 완전낙수 효과 등), 최근 국내외 안정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직파 신기술의 이론, 원리, 실제 및 현장견학, 농가반응, 기계이앙논과 직파재배논의 벼 작황비교 및 차이, 경제성, 최근 스마트필드(드론, 로봇 등 이용) 농법에 의한 벼 재배기술 등 실제 현장 영농을 위한 수도작 전문농업인으로서 익혀야 할 이론, 원리, 심화실습내용을 중심으로 강의와 실습이 이루어진다.
전작경영 및 실습(Management and Practice of Upland Crops)
식량작물기초생산 및 실습(선수 교과목)을 수강한 식량작물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영농창업을 대비한 전작물(맥류, 두류, 잡곡류, 서류)의 주요 핵심기술과 재배의 문제점에 대한 교육 및 주요 작물에 대한 개인별(조별) 지정과제의 발표를 통한 적극적인 참여식 교육으로 작성자적 역량과 전문 기술인으로 양성하고자 한다. 이 교과에서는 주로 ① 맥류의 이용(맥류의 재배환경과 생육, 맥류의 생력기계화재배 및 조사료로서의 가치, 사료용 맥류 이용기술), ② 전작물 시비처방기준, ③ 밭작물의 부가가치, ④ 밭 토양과 논 토양의 차이, ⑤ 작부체계(전작물과 가능한 작부유형, 시설, 농기계 구입 규모화 경영, 녹비사료작물 재배기술, ⑥ 대사작용(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작물과 6차산업(The Sixth Industrialization on Food Crops)
농업의 6차산업화는 농업 생산이라는 1차 산업을 중심으로 가공이나 특산품 개발 등 2차산업과 직판장이나 음식업, 숙박업, 관광업 등 3차 산업을 우리 농업계가 담당하며 부가가치를 향유하자는 것을 의미한다.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따라 농업성장과 농가소득 제고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위해 생산, 가공 및 유통 등 전방위적인 활로 모색이 필요하다. 식량작물학과에서는 식량작물의 생산과 6차 산업에 대한 이론 강의와 현장사례 중심의 교육을 통하여 우리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을 제고하고, 농업⋅농촌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창조적 사고 능력을 높이고자 한다. 주요 교육내용은 ① 6차 산업의 개념과 의미, 6차 산업의 추진방법과 유형구분, ② 6차 산업의 성공요소와 사례탐구, ③ 6차 산업과 농업마케팅, ④ 현장사례 및 체험(종합형, 가공형, 외식형, 유통형, 체험관광형)으로 구분하여 강의와 사례중심 및 현장 중심의 교육을 진행된다.
식량작물가공(Crop Processing)
해당교과는 수강자가 수확후 가공을 통해 식량작물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수급조절을 바탕으로 새로운 소득창출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둔다. 주요 교육내용은 농산물가공의 기초이론교육을 토대로 가공의 필요성과 이해를 높이고 작목별 가공기술교육을 실시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에 중점을 둔다. 또한 수확 후 가공계획이 단순 아이디어에 그치지 않고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영농창업을 대비한 가공기술 적용방안에 대한 교육을 병행한다.
디지털농업작물응용(Application of digital agriculture)
식량작물분야 디지털 농업의 적용은 작물정보, 토양정보, 물관리, 기상, 잡초, 병해충, 수량예측, 농작업 자동화, 양분 및 수분관리, 품종 및 재배적지와 재배법 추천, 지능화(수분 모니터링, 생육 영양진단, 농장 데이터 수집), 수확후관리, 영상기반 생육진단 및 분석, 무인 예찰 및 방제, 자율주행, 지능형 드론, AI농업로봇 등의 식량작물 재배생산 활용기술에 대한 실무응용교과이다.
작물수확후관리기술(Post-harvest technology of crops)
작물수확후관리기술이란 주요작물의 수확이후 소비자의 식탁에 이르는 동안 또는 가공식품의 원료로 이용될 때까지 거치게 되는 일련의 공정과 관련된 총체적인 기술을 말한다. 곡물의 건조 및 건조장치, 건조기의 종류, 건조소요 에너지, 선별, 도정과 분쇄, 곡물저장, 곡물의 저온저장, 식량작물 가공식품냉동, 곡물의 포장 및 수송, 이송장치, 미곡종합처리시설(RPC, Rice processing complex) 등 에 관한 주요 작업 단계별 기술을 학습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한 현장중심의 실무교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