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농어업을 선도하는 디지털 농어업 인재 육성 대학
학습목표 | 학습내용 |
---|---|
학생의 희망 작목 선정 및 모형 설정 학부형 농장의 현황 파악 |
학생의 능력과 희망 작목을 파악하고 학부형 농장을 경영 유형별로 파악하여 반영한 후 그룹 결성운영 -경영유형별 문제점, 개선방향에 대한 과제부여, 발표, 평가회 개최 |
축산 기초기술의 이론적 정립 | 가축 사양관리, 생리, 번식, 영양, 육종, 위생 등 축산 기초에 대한 통합 이론 학습 및 실습 축종별 전문실습 교육 |
전문축산경영인으로서의 기초소양배양 | 유관기관(농업기술센터, 선진농장, 사료공장, 육가공장 등)방문견학 |
복합영농 등을 위한 전공분야외 지식 습득 |
자기 전공 외 다른 학과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 복합영농이나 다양한 생산품목 확대를 가능토록 교육 |
학습목표 | 학습내용 |
---|---|
전문 현장기술 체험 | 이론과 체험이 조화된 전문 기술 습득 -농장 운영 및 경영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 습득 |
현지 인성교육 함양 | 농장주의 창업배경, 축산업에 대한 철학 등을 배움으로서 앞으로 전문축산경영인으로서의 자질 함양 |
국제적 안목 배양 | 축산 선진국의 축종별 농장 견학 및 체험학습기회 부여로 국제적 안목 배양 |
학습목표 | 학습내용 |
---|---|
전문 심화기술(생산-소비)확립 | 한우분야 경영유형별 심화 교육 |
전문 경영인 창업계획 수립 | 1,2학년 과정을 기초로 한 자기 농장 경영계획 및 발전계획 수립 교육 |
경영 유형별 벤처 마킹 설정 및 현지 체험 교육 |
특수 기술 및 미진한 분야 현지 견학 및 체험 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