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농어업을 선도하는 디지털 농어업 인재 육성 대학
학습목표 | 학습내용 |
---|---|
학생의 희망 가공분야 선정 및 학부형 농장의 현황 파악 |
전공학생의 역량 및 가공관심 분야와 품목을 파악하고, 학부형의 주력 생산 농축수산물과 경영 유형에 따라 농산가공, 축수산가공 그룹(트랙)을 운영 - 가공분야 및 품목별 생산경영의 문제점과 특이사항과 개선방향에 대한 과제부여, 발표, 토의 및 평가회 개최 |
농수산식품 가공을 위한 전문기초기술(생산-소비) 정립 |
농축수산식품 전문가공을 위한 기반 이론 및 기술 통합교육 - 식품재료 및 가공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교육 - 가공조작 실습, 식품가공기계의 원리 및 운영실습 |
농축수산식품 전문가공 경영인으로서의 기초소양 배양 |
유관기관(식품관련 연구소, 선진 농가공업체 등) 방문견학 - 학생의 관심가공분야 심화 및 동아리 활동 - 관심분야 식품관련 기술자격증 취득 - 외국어 생활회화 실력배양(영어, 일어) |
학습목표 | 학습내용 |
---|---|
현장 전문가공기술 체험 | 1학년 때 습득한 기본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농축수산물의 생산부터 가공판매 및 체험까지 운영하는 국내․외 선진농업경영인 및 가공업체의 전문기술자 지도아래 농축수산식품의 생산기술, 판매, 유통, 경영 등을 학습 |
제품생산 및 창업계획을 위한 자료수집 | 관심분야 제품생산 및 창업계획 수립을 위한 기술 및 경영자료 수집 및 분석 |
해외 선진농장 견학 및 체험 |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해외농장 및 농가공 산업 연수 |
학습목표 | 학습내용 |
---|---|
전문 심화기술(생산-소비) 확립 | - 농축수산식품 가공분야 유형별 전공응용 및 심화 교육 - 생산에서 소비로 이어지는 체계 교육 - 관심분야 가공제품 및 가공기술, 경영상 문제점 등을 케이스스터디를 통해 찾아보고 해결책 모색 및 교육 |
전문 경영인 창업계획 수립 | 1, 2학년 과정을 기초로 관심제품 개발 및 생산, 경영, 발전계획 수립 교육 |
경영 유형별 벤치마킹 및 현지 체험교육 | 특수기술 및 관심분야 맞춤형 현장견학 및 체험 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