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네비게이션

미래 농어업을 선도하는 디지털 농어업 인재 육성 대학

본문내용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URL 주소복사
  • 오류신고
  • 페이지 인쇄기능

전공심화

전공심화과정 전공 교과목

교과과정
구분 1학기 2학기
교과목 학점/시수 교과목 학점/시수
필수 효소응용및실습 2/2 체험상품생산및실습 2/2
지역특산품생산및실습 2/2 맞춤형식품생산및실습 2/2
선택 식품영양학특론 2/2 식품유통및마케팅 2/2
지역가공이슈 2/2 식품창업특론 2/2
건강기능식품생산 2/2 식품안전및품질관리론 2/2

전공심화과정 전공 필수 교과목 해설

효소응용 및 실습 (Enzyme Application in Food Processing)
식품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효소적 전환반응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식품의 가공적성, 저장성 및 품질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효소반응의 기본적인 원리와 함께 다양한 식품 가공공정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창업제품 또는 기존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지역특산품 생산 및 실습 (Local Food Production)
식품가공학의 심화과목으로서 국내원료 및 지역농산물을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 국내외 환경변화에 맞추어 다양화, 간편화, 즉석화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체험상품 생산 및 실습 (Rural Tourism Product Development)
지역자원을 이용한 관광 및 공급망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체험상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짧은시간에 체험이 완성될 수 있도록 원료처리, 혼합, 저장 기술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맞춤형 식품 생산 및 실습 (Manufacturing Personalized Food)
사회환경변화와 더불어 고혈압, 당뇨, 비만 등 각종 질병이 증가하고 있다. 개인의 특성에 맞추어 영양소를 조절하고 생체방어, 질병예방 및 회복 등과 같은 생체 조절 효과를 지닌 식품의 원료나 성분을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전공심화과정 전공 선택 교과목 해설

식품영양학특론(Advanced Food Nutrition Chemistry)
농산물의 대량 소비처로는 학교, 회사 및 병원 등이 있다. 이들 소비처에 식품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성장단계별 필요 영양소 및 각 질병개선에 필요한 영양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외에 인구노령화에 따른 필요 영양요소에 대하여 학습한다.
식품유통 및 마케팅(Food Distribution and Marketing)
소량 다품목 지역식품의 유통체계, 지역매장의 운용 및 IT기반 마케팅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지역가공이슈 (Local and Regional Food Systems)
지역 농수산물종합가공센터의 가공장비를 최대한 활용한 가공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농수산원료 처리방법, 추출 및 건조 등의 원물처리 방법을 포함한 후살균 기술 등을 학습한다.
식품창업특론(Advanced Food Startup)
식품창업을 위한 법적인 절차를 포함하여 기술창업을 위한 산업재산권의 유형, 의미, 확보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건강기능식품 생산(Functional Food Production)
지역농산물 및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원료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전략, 제조기준과 규격, 품질과 안전성 확보방법을 습득한다.
식품안전 및 품질관리론(Food Safety and Quality Control)
식품안전관리 측면에서는 소규모 HACCP에 대하여 학습함에 있에 소규모 업체에 핵심적인 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자신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품질관리측면에서는 식품의 유형별 법적관리기준에 대하여 습득한다.
현재 페이지의 내용 및 사용편의성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결과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