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네비게이션

미래 농어업을 선도하는 창의적 인재 육성 대학

본문내용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URL 주소복사
  • 오류신고
  • 페이지 인쇄기능

전공심화

교과과정

교과과정
구분 1학기 2학기
교과목 학점/시수 교과목 학점/시수
전학과 식품성분및저장특론 2/2 4차산업과인공지능 1/1
농업문화론 2/2 농어촌관광계획론 1/1
농수산 ICT 응용 2/2 스마트농기계실무 2/2
온라인마케팅 1/1 시설원예노지스마트팜 2/2
축산스마트팜시스템 2/2 수확후품질관리실무 2/2
재무회계관리특론 2/2

교양 선택 교과

식품성분 및 저장특론(Advanced Food Components and Storage)
식품을 구성하는 일반 성분과 가공·저장 중에 발생하는 이들 성분의 변화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체계화하고 식품성분 변화 최소화와 식품의 양적 손실, 영양가 파손, 제품의 품질, 저장수명을 연장하는 등 저장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농업문화론(Agricultural Culture)
도시와 대비되는 농촌 농업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농촌문화의 다원적 가치 함양을 위해 농업·농촌과 농촌문화, 농촌 생활, 농촌 개발과 공동체 등 농업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농수산ICT응용(Application IC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온실, 축사, 양식장 등 농수축산업에 적용되는 ICT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및 응용기술에 대해 다룬다. 4차산업의 연계된 농업기술과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기술 전반에 대해 학습하고 스마트 농업 ICT기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실습한다.
온라인마케팅(Online marketing)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디지털 환경이 발전하면서 온라인을 통해 유통구조 개선과 농가소득 증대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온라인마케팅이 농산물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온라인 마케팅의 이해와 변화하는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에 즉각 대응하기 위한 이메일, SNS, 블로그 등 홍보매체 활용, 쇼핑몰 운영 전략, 콘텐츠 개발 등 온라인 마케팅 전략 및 기술 등을 학습한다.
축산스마트팜시스템(Smart Farm System Practices for Livestock production)
축산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스마트팜의 실제와 응용 기술에 대해 다룬다. 축산시설에 적용된 시스템, 가축사양관리시스템, 환경관리 시스템과 장치들의 유지관리를 위한 전기, 자동화, ICT 기술 등을 학습함. 스마트팜을 구성하는 요소기술인 센서, 제어기, 장치, 환경관리시스템, 사양관리시스템 등의 기술 이론 습득과 설치‧ 유지관리 실습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4차산업과 인공지능(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의 주목받고 있으며, 농수산 분야에서도 인공지능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주요 기술뿐만 아니라 머신러닝,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 기술의 원리에 대해 학습하고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 기술과 연계하여 농수산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농어촌관광계획론(Rural tourism planning)
농어촌지역의 소득활성화와 소득증대를 위해 농어촌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색과 문화, 역사, 생태 등을 접목시킨 농어촌관광이 활성화되면서 자연친화적이고 생태적인 농어촌관광과 관광, 휴양 등을 제공하는 녹색관광 지식 습득과 농어촌관광을 위해 필요한 농어촌관광 사업유형별 개발 계획과 운영기술, 현황조사‧분석, 구상, 환경정비, 투자계획, 투자우선순위 결정, 시행계획 등을 학습한다.
스마트농기계실무(Advanced Smart Agricultural Machine)
스마트농업기계 및 농작업기계의 대형화, 자동화에 따른 농작업은 편리해지고 있으나, 스마트 농업기계의 안전사용 및 고장 예방 등 관리운용 측면의 전문기술에 대한 현장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교과에서는 ICT기반 스마트농업기계 및 농작업기계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관리운용기술에 대한 전문지식을 배양하고,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습위주의 학습으로 구성한다.
시설원예노지스마트팜(Smart Farm Practices for Greenhouse and Field)
시설원예와 노지작물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스마트팜의 실제와 응용 기술에 대해 다룬다. 시설원예와 노지작물 적용된 관수시스템, 환경관리 시스템 등 각종 시스템과 장치들의 유지관리를 위한 전기, 자동화, ICT 기술 등을 학습한다. 스마트팜을 구성하는 요소기술인 센서, 제어기, 장치, 환경관리시스템, 관수시스템 등의 기술 이론 습득과 설치‧ 유지관리 실습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수확후농산물품질관리실무(Agricultural product quality control practices)
좋은 품질의 농산물 생산 못지않게 중요한 생산 원료의 신선도 유지와 부패 방지를 위한 농수축산물의 품질관리에 대한 기본지식을 학습한다. 또한 농산물 원료의 수확 후 선별, 세척, 포장, 저장 등 단계별 상품성 유지 및 그 부가가치 제고에 필수적인 기술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농산물의 품질관리 능력을 배양한다.
재무회계관리특론(Advanced Financial Accounting Management)
농업경영의 규모가 커지고 전문화되면서 기업경영기법의 농업적 적용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농업경영체의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경영체의 재무상태와 경영실적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농업경영상태의 기록관리, 자본비용, 자본구조, 자본예산, 대차대조표 분석, 손익계산 등에 대해 학습하고 포트폴리오 이론 등을 통해 향후 자본투자, 경영분석 등 재무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