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네비게이션

미래 농어업을 선도하는 디지털 농어업 인재 육성 대학

본문내용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URL 주소복사
  • 오류신고
  • 페이지 인쇄기능

교과소개

전공 필수 교과목 해설

무척추동물번식및실습(Invertebrate Reproduction and Practice)
무척추동물(패류, 갑각류)은 우리나라 중요한 양식 생물로서 고부가가치 생물군이다. 본 교과목은 무척추동물의 품종별(굴, 전복, 흰다리새우, 해삼, 멍게 등) 특성, 기본 생리·생태 및 번식 방법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주요 구성으로는 ① 무척추동물의 종류와 생태계 이해, ② 품종별 성성숙 원리 및 환경조건, ③ 주요 무척추동물의 산란 및 번식 생리 특성, ④ 주요 무척추동물의 종자생산 실무 등으로 구성된다.
해조류번식및실습(Seaweed Reproduction and Practice)
국내 해조류 중 가장 많이 양식되고 있는 김, 미역, 다시마에 관한 생활사와 번식방법에 대하여 공부하고 이들의 모조관리, 사상체, 유주자 등을 실습을 통하여 직접 배양하고 현장견학을 통하여 현장적용 능력을 함양한다. 또한 최근 웰빙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매생이나 청각, 모자반 같은 해조류에 대한 번식 메카니즘과 인공 및 자연채묘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주요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김의 모조관리와 생활사 ② 김의 패각사상체와 유리사상체 배양(과포자 및 각포자 성숙억제와 촉진방법) ③ 미역의 모조관리와 생활사 ④ 미역의 유주자 관리와 채묘 ⑤ 다시마 모조관리와 생활사 ⑥ 다시마 포자관리와 채묘 ⑦ 매생이 종자생산(자연채묘, 인공채묘) ⑧ 청각 종자생산(인공채묘) ⑨ 모자반 종자생산(인공채묘)에 관한 순서로 구성된다.
(무척추동물, 해조류)양식환경관리 및 실습(Practic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Invertebrate or Seaweed Aquaculture)
수산생물은 수중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수질과 수온 변화에 대해 민감하다. 주어진 사육환경에서 생리적인 대사활동을 통해 성장하는데 이러한 성장 과정에서 사료의 적정 급이수와 양, 성분 등 또는 사육밀도, 선별 등으로 사육수의 수질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사육수의 순환과정 중 특히 질산화과정(nitrification process)을 이해하고 수질 등 환경관리의 중요성을 실습한다. 또한 성공적인 양식을 위해서는 미생물의 관리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질 좋은 사육수의 관리를 위한 세균, 박테리아 등 미생물의 관리와 역할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세계적으로 사육수를 재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산생물양식창업세미나(Seminar for Invertebrate and Seaweed Cultivation Operation Planing)
졸업 후 직접 양식장을 경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양식장의 현황 조사를 통하여 양식장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개선방안과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을 세미나 형식으로 발표하고 토의한다. 이를 통하여 양식업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을 작성하고 발표력을 향상한다.
(무척추동물,해조류)종자생산 및 실습(Seed Production of Invertebrate and Seaweed)
무척추동물(패류, 갑각류)과 해조류의 번식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산란유발 및 포자방출, 수정란 관리 및 발생, 치패 및 포자 사육 관리 등을 학습하고, 종자생산에 관한 전반적인 기술을 습득한다. 특히 자신이 창업하여야 하는 품종에 대한 맞춤식 실습을 통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교육한다. 주요 실습내용은 ① 종자생산 품종 선정 ② 종자생산 준비(시설 및 장비 세팅) ③ 품종별 먹이생물 및 종자 배양 ④ 산란, 부화 및 채묘 관리 ⑤ 유생 및 포자의 환경관리 ⑥ 초기 치패 및 배우체 관리에 관한 순서로 구성된다.
수산생물양식창업논문작성(Documenting Invertebrate and Seaweed Cultivation Operation Plan)
졸업 후 부모의 양식장을 승계하여 발전시키거나 분가하여 창업하거나 또는 새로운 양식장을 조성하는 등 수산 양식업을 창업하거나 승계하기 위하여 그동안 생각해왔던 계획을 논문으로 작성하고 본인의 생각과 내용을 발표하여 사업의 가능성을 토론과 검토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작성하여 심사를 거쳐 졸업논문으로 작성한다. 이를 통하여 사업 계획서를 작성하고 발표하는 등 자신감과 능력을 배양한다.
수산최신기술및산업동향(Current Issues and Trends of The Fisheries Industry)
수산분야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 사회 및 산업 동향과 양식관리 및 생산, 유통․가공 등 수산산업 관련 최신기술에 대한 주요 쟁점을 선정하고 자료수집, 발표 및 토론을 통하여 양식산업(패류, 갑각류, 해조류)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변화 및 사회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종합적인 이해를 돕는다. 주요 내용은 ① 세계 식량산업 현황 및 향후방향 ② 양식현장 문제점 및 신기술 ③ 유통판매현장 문제점 및 신기술 ④ 유기수산물 생산․유통 현장 문제점 및 신기술 ⑤ 최신 수산양식기술과 어촌관광 ⑥ 창업과 승계와 관련하여 졸업생의 초청 강연을 통해 졸업 후 겪게 되는 어업현장의 기술적용의 문제점과 신기술적용 과정을 미리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전공 선택 교과목 해설

양식학개론(Introduction to aquaculture)
수산양식은 미래생명산업으로 잠재력이 크기 때문에 수산양식을 전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기본 지식을 필요로 한다. 특히 생물과 환경, 생물과 시설 등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양식어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지식 즉 국내·외 양식 산업의 현황과 전망, 양식생물의 특징, 양식환경, 해역과 품종에 따른 양식기술, 시설, 장비 등에 대한 지식 습득을 위하여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양식적지, 시설 ② 기계 및 장비 ③ 서식장소와 품종에 따른 기본적인 양식기술(종자생산과 양성) ④ 먹이생물 배양과 사료영양 ⑤ 품종개량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한다.
수산학개론(Introduction to fishery science)
우리나라 수산업의 역사와 수산업의 구조 등 수산생물자원의 이용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위하여 연근해어업, 원양어업, 내수면어업의 어업별 수산물의 생산 현황과 수산자원의 어획방법 등을 파악하고 주요 수산자원의 동태, 연령과 성장, 재생산, 자원의 변동요인 등에 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수산물의 지속적인 생산과 이용을 위한 MSY, TAC 등의 이해와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대한 개념을 이해한다. 주요 강의 및 토론내용은 ① 수산업의 특성, ② 세계 수산자원의 현황, ③ 우리나라 주요 어업, ④ 수산자원의 단위, ⑤ 수산자원의 조성, ⑥ 수산자원의 변동, ⑦ 수산자원의 관리 등으로 구성된다.
무척추동물생리생태학(Physioecology Invertebrate)
부족류(굴 등), 복족류(전복 등), 두족류(문어 등)과 같은 연체동물, 절지동물(새우), 극피동물(해삼), 피낭류(멍게)와 같은 척색동물 그리고 담수패류인 석패류(대칭이 등)의 기본적인 생태와 생리를 학습한다. 이들 무척추동물의 서식장 특징과 외·내부 기관구조 및 먹이섭식형태, 산란과 번식방법, 방어기작에 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양식에 활용되고 있는 유용수산생물의 생물학적 특징 등을 파악한다. ① 양식에 이용되는 유용 무척추 동물군 파악 ② 연체동물의 외부형태, 내부기관 ③ 연체동물의 서식지 특성, 먹이섭식, 소화계, 순환계 ④ 산란 및 번식, 방어기작 ⑤ 절지동물의 외부형태, 내부기관, 서식지 특성, 먹이섭취 번식 특성 ⑥ 극피동물의 외부형태, 내부기관, 서식지 특성, 먹이섭취 번식 특성 ⑦ 척색동물의 외부형태, 내부기관, 서식지 특성, 먹이섭취 번식 특성 ⑧ 담수패류(석패류)의 번식특징 등으로 구성된다.
해산식물학(Aquatic plants)
바다의 해조 숲 즉 해조장은 연안역의 중요한 1차 생산자인 것과 동시에 어류, 패류, 갑각류 등 수산생물의 산란장과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연안 어업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해조류는 주요한 식량자원이기도 하고 공업원료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기능성식품, 의약품 등 기능성 물질 소재로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주요강의 내용은 ① 해조류의 특성과 다양성 ② 남세균 ③ 녹조류(녹조식물문) ④ 홍조류(홍조식물문) ⑤ 갈조류(갈조식물문) ⑥ 식물플랑크톤(해수, 담수) ⑦ 기타 해조류(현화식물, 산호, 저서성 조류 등) 등으로 구성된다.
양식장수질분석및응용(Water quality analysis and application of Aquafarm)
국내외적으로 양식장 환경의 중요성은 계속적으로 강조되고 있고 나아가 양식생물과 인간 모두가 웰빙할 수 있는 환경을 요구받고 있다. 본 교과목은 양식장 사육수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수질 특성과 양식생물에 영향을 주는 환경에 대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양식장 및 수산물의 환경위생기준, 사육수의 수질변화, 수질측정 방법 및 장비의 이해, 양식장 수질관리(수온, 용존산소,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황하수소, pH, 염분 등), 양식어와 수질 등으로 구성된다.
(무척추동물,해조류)양성 및 실습(Aquaculture Application Practice of Invertebrate and Seaweed)
무척추동물과 해조류의 치패 및 포자를 대상으로 최적의 관리기법 등을 습득하기 위하여 수질환경측정, 사육시설·장비 운용 등에 관한 기술을 학습한다. 특히 각 품종에 적합한 사육환경을 직접 제작하고 관리함으로서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실습내용은 ① 양성 품종 선정 ② 사육시설 준비[모패(모조), 치패(포자) 확보 및 시설 셋팅] ③ 품종별 사육환경 조절 ④ 치패 및 포자 관리에 관한 순서로 구성된다.
먹이생물학(Live Food Organisms for Aquaculture)
유용 수산생물의 양식과정에서 기본이 되는 초기사육 기술개발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동·식물 먹이생물의 대량 확보이다. 어류와 무척추동물을 구분하여 이들 생물의 양식에 필요한 동·식물 먹이생물의 종류와 먹이생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 동·식물 먹이생물의 생리· 생태, 대량배양에 필요한 환경조건· 시설 및 대량배양 방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대량배양 실습을 통하여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먹이생물의 정의와 필요성 ② 식물먹이생물의 조건과 종류 ③ 식물먹이생물의 확보 및 영양배지 ④ 식물먹이생물 배양 환경 및 시설 ⑤ 식물먹이생물의 대량배양 ⑥ 동물먹이생물(Rotifer)의 생활사 및 대량배양 ⑦ 동물먹이생물(Artemia) 부화와 시설 ⑧ 기타 먹이생물(Copepoda, Moina)의 배양 등으로 구성된다.
(무척추동물, 해조류)시설및장비운영실습(Facilities and Equipment Operation Practice of Invertebrate and Seaweed)
무척추동물 및 해조류의 사육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최적의 사육환경조건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양식생물 사육에 필요한 시설(수조, 배관)과 장비(펌프, 에어블로워, 발전기, 사료제작기 등)를 효율적으로 운영관리 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습교육이다. 주요 실습내용은 ① 양식장 시설(규모 및 형태) ② 수조 배치(여과 및 기계설치) ③ 배관(동선 및 시설 효율성) ④ 펌프 운영(규격 및 사용방법) ⑤ 여과기(종류 및 원리) ⑥ 에어브로워(규격 및 시설) ⑦ 발전기(원리 및 운용) ⑧ 사료제조기(구성 및 운용)에 관한 순서로 구성된다.
사료영양학 및 실습(Feed and Nutrition)
수산생물 사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양식생물의 영양적 요구에 맞추어 사료를 만들고 공급하는 것이다. 양식생물은 변온동물로서 육상의 가축과는 다른 영영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먹지 않고 버려지는 사료는 사육 수질뿐만 아니라 연안환경을 오염시키므로 적정한 사료의 공급 또한 중요하다. 우리나라 양식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생사료라고 하는 Moist pellet(MP, 냉동사료와 분말사료에 비타민 등 적정한 첨가물을 넣어 자가에서 생산하는 사료)을 사용하면서 환경 오염문제가 야기됨에 따라 정부에서 주요 양식생물에 대한 배합사료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다. 품종별 영양 요구 및 배합사료에 대한 이해와 숙지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식품안전이 우선시되는 배합사료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 본 과목의 주요 강의 및 실습 내용은 ① 품종별 영양 요구 및 특성, ② 선진국의 배합사료 연구개발과 한국양식 현주소, ③ 수산생물의 소화관과 기능, ④ 영양물질(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⑤ 대사활용 및 에너지, ⑥ 품종별 성장과 영양, ⑦ 배합사료 제조 원리 및 주요 공정, ⑧ 배합사료 섭식률 증대방안 등으로 구성된다.
패류양식및실습(Shellfish Aquaculture and Practice)
이매패류(굴, 피조개, 바지락)를 부착성, 일시부착성, 침착성패류로 구분하여 이들의 특징과 각각 종에 대한 양식기술을 종자생산과 양성분야로 구분하여 학습하고 종자생산과 양성에 필요한 기기와 시설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복족류인 전복의 종자생산과 과정과 양성기술을 현장견학과 교내 실습을 통하여 습득하고 실제 현장에서 응용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부착성 패류인 굴의 종자생산방법(인공채묘와 자연채묘)과 양성방법 ② 일시부착성 패류인 피조개의 인공종자생산과 양성방법 ③ 침착성 패류인 바지락의 인공종자생산과 양성방법 ④ 전복의 인공종자생산 ⑤ 전복 양성 ⑥ 기타생물(해삼, 멍게)의 양식방법에 대한 순서로 구성된다.
갑각류양식및실습(Crustaceans Aquaculture and Practice)
갑각류(새우류, 게류)는 기호성이 높은 양식생물로서 최근 새로운 양식기술 도입과 더불어 많은 양식어업인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갑각류 양식은 대하와 보리새우를 기본으로 한 생태와 번식생리, 양식기술(인공종자생산, 양성)과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발생으로 인한 축제식 양식장의 환경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 한다. 또한 최근 흰다리 새우 양식에 있어 새로운 양성기술인 바이오 플락 양식과 꽃게의 인공종자생산과 국외에서 이식된 징거미새우(로젠베르그)양식기술에 관하여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새우류의 양식현황 ② 새우류의 생태와 번식생리 ③ 흰다리새우의 종자생산 ④ 흰다리새우의 양성과 양식장 환경관리 ⑤ 바이오 플락 양식기술(BFT) ⑥ 꽃게 인공종자생산 ⑦ 징거미새우 양식 기술에 관한 순서로 구성된다.
수산법규(Aquacultural laws)
수산양식사업을 하는데 있어서는 수산업법을 기본으로 수산양식과 관련된 여러 법과 제도를 알아보고 또한 정부 및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수산관련 사업들을 이해하고 그 추진 과정과 절차를 알아 적극 참여할 수 있다. 특히 수산양식업은 생물을 잘 키우는 일 뿐만 아니라 양식장의 종류별 면허, 허가, 신고 등 절차와 수산질병전염 등 법에 규정된 내용을 잘 아는 것 또한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여러 제도에 대해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토론내용은 ① 법과 제도의 이해, ② 수산업법 및 시행령, ③ 수산종자산업육성법, ④ 수산생물질병관리법 및 시행규칙, ⑤ 양식수산물재해보험법, ⑥ 수산업경영인육성법, ⑦ 정부 및 지자체 수산사업 등으로 구성된다.
양식공학 및 실습(Aquaculture Engineering)
양식생물은 담수와 해수, 동물과 식물, 어류, 패류, 갑각류 등 다양한 생물로 이루어져 있고, 서식환경 또한 육상과는 달라 복잡한 환경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들이 서식하는 환경인 물은 대기에서 사육하는 가축 등과는 매우 다르고 산소의 부족 등에 따른 대량폐사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생물뿐만 아니라 환경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신속 대처하는 것이 양식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양식이 매우 어려운 지리적 환경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국토 면적이 좁아서 폐쇄식 순환여과 양식시스템(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RAS) 기술개발 및 접목이 향후 한국양식 미래라 할 수 있다. 환경 특성에 따른 양식장은 크게 개방형과 폐쇄형 양식장이 있다. 이들 개방적, 폐쇄식 양식장 환경 특성을 이해하고 세계 양식선진국의 양식장 환경 및 수질 관리 체계를 학습한다. 또한 순환여과 시스템의 원리를 이해하고 직접 제작 및 관리를 통하여 고밀도사육 시스템과 수질관리 방법을 학습한다. 이에 본 과목의 주요 내용은 ① 양식장 환경 및 공학의 기본 이해, ② 내수면 양식장 환경 특성 및 관리 방안, ③ 천해양식장 환경 특성 관리 방안, ④ 적조/해파리 피해 및 공학적 대응 방안, ⑤ 폐쇄식 양식장의 환경특성, ⑥ 폐쇄식양식장의 수질관리, ⑦순환여과 시스템의 효율적 관리 방법 및 실무, ⑧ 생물학적 여과시스템 설계 및 제작 방법, ⑨ RAS와 BFT 시스템 및 기술의 이해와 비교 분석, ⑩ 순환여과 시스템 사육시설 관리 방법 및 실무, ⑪ 주요 양식장 시설 공학 및 관리 등으로 구성된다.
수산질병학 및 실습(Fisheries Pathology)
양식이란 육상에 비해서 산소량이 매우 부족한 수계에서 이루어지며, 호흡하는 곳에 배설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종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근년에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규모 고밀도 양식이 이루어지면서 질병 감염에 의한 피해가 매우 크다. 양식장에 질병이 발생하면 치료비가 클 뿐만 아니라 전파력이 높아 대량 폐사가 이루어지므로, 치료 대책 마련보다는 예방 및 방역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주요 어종의 각종 질병에 대한 육안 관찰 및 현미경 검경을 통한 질병 대처 능력을 배양하고, 질병 예방 및 방역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식품안전이 보장된 양식생물 생산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과목의 주요 내용은 ① 수산생물 질병 원인 및 대책, ② 주요 수산생물 질병 종류 및 특성(바이러스성, 세균성, 기생충성, 영양성 질병), ③ 품종별 면역체계 및 반응, ④ 질병 예방을 위한 양식장 관리, ⑤ 질병 감염어 주요 증상, ⑥ 수산생물 약제 특성 및 선택, ⑦ 수산생물 질병 제어 및 방역, ⑧ 주요 양식품종의 질병 종류 및 대책, ⑨ 수산생물 약제 처리 방법 등으로 구성된다.
수산생물양식경영실무(Management and Business of Invertebrate and Seaweed Cultivation)
양식경영 현장에서 필요한 경영기초 이론, 국내외 산지 간 경쟁이론, 수산물 시장권 변화론, 식품안전경영, 해양환경 및 녹색경영, 협동조합론, 식품경제학 등을 강의하고, 양식장 생산비조사 및 경영분석 등의 실습과 양식장 방문을 통한 현장실습을 통하여 유능한 양식경영인이 되기 위한 자질을 연마한다.
해조류양식및실습(Seaweed culture and Practice)
국내 양식되고 있는 해조류를 홍조류(김, 우뭇가사리), 갈조류(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녹조류(파래, 청각, 매생이)로 구분하여 양식방법 등을 학습하고 각 해조양식품종에 따른 양식적지와 양식시설 등은 현장견학을 통하여 능력을 함양한다. 특히 최근 해조류 양식에 이슈가 되고 있는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에 대응할 수 있는 해조류의 품종개량(신품종 탐색, 선발육종, 형질전환)에 관하여 학습한다. 주요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홍조류 양식(양식장 특성, 시설, 양식방법) ② 김, 우뭇가사리 등의 병해충 ③ 갈조류의 양식(양식장 특성, 시설, 양식방법) ④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의 품종 개량 ⑤ 녹조류 양식(양식장 특성, 시설, 양식방법) ⑥ 파래, 청각, 매생이의 품종 개량 등을 학습한다.
수초인테리어(aquarium grass Interior)
수초를 활용한 인테리어는 최근 취미생활이 다양화되고 교육 및 체험학습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수초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이 재인식되면서 관상산업과 연계하여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본 교과목은 수초의 기초지식을 함양하고, 증식 및 생산뿐만 아니라 2차 관련 용품, 3차 수조 인테리어, 전시 서비스 등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① 수초의 특성과 이해 ② 관상용 수초의 역할 ③ 수초 선택과 관리 ④ 수초 인테리어 운영 등으로 구성된다.
스마트양식(Smart Aquaculture)
최근 ICT(정보통신기술), AI(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함에 따라 이러한 미래첨단기술을 양식산업에 적용이 되고 있다. 본 교과목은 신기술에 대한 능력함양을 목표로 수질환경제어, 시설첨단화, 사육과정의 자동화 등과 같은 스마트양식기술을 학습한다. 주요 강의 및 실습내용은 ① 첨단 융복합 양식기술 ② 광학식 용존산소 센서 이용 ③ 친환경 내파성 복합가두리 시설 ④ 사물인터넷 스마트 수산양식 시스템 ⑤ 양식어업 드론 활용방안에 관한 순서로 구성된다.
현재 페이지의 내용 및 사용편의성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평가결과보기